7월 수도권서 최다 분양 물량 쏟아져...이월된 물량 영향
▷전국 3.9만 가구 분양 예정...지난달 3배 물량
▷청약시장도 되살아나...청약경쟁률 8대1
▷"청약온기, 전국적으로 확산되긴 어려워"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수도권에서 올해 월간 기준 최다 분양 물량이 7월 중 쏟아질 전망입니다. 분양시장에서 잇따라 좋은 성적을 거뒀다는 평가가 나오며 그동안 이월돼온 물량이 가세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달 전국 50개 단지, 3만9658가구의 아파트가 분양에 나설 계획입니다. 지난달 실적인 1만3331가구의 약 3배에 달하는 물량입니다.
청약 온기가 감도는 수도권 분양계획 물량은 올해 월간 최다 수준인 1만8625가구로 집계됐습니다. 미분양 우려가 상대적으로 큰 지방에서는 이보다 많은 2만133가구가 풀리는데, 공사비 상승과 금융비용 부담 등으로 더 이상 분양을 미룰 수 없다는 인식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 상반기 분양시장은 고금리와 경기부진, 자금조달 어려움, 미분양 리스크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리면서 위축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올 상반기(1~6월) 전국 아파트 분양실적은 74천597가구로, 금융위기 직후인 지난 2009년 상반기 6만8776가구 이후 최소치를 기록했습니다.
공급속도 조절, 할인분양 등 자구책 시행에 힘입어 미분양 물량이 지난 2월 고점을 찍은 후 감소했고, 정부의 규제 완화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가 되살아나면서 6월 이후부터는 물량이 풀리는 분위기입니다.
전국 각지에서 그동안 미뤄졌던 사업지들이 속속 분양을 계획하면서, 올해 하반기에는 상반기 실적 대비 3배 이상 많은 23만4937가구(월 미정 물량 포함)가 공급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에 이달 이후 청약 수요자들의 선택지가 다양해질 전망입니다.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수심리가 움직이면서 청약시장도 되살아나는 분위기입니다. 분양가 상승 전망으로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되는 사전청약에 대한 관심이 이어졌습니다. 거주지역 및 보유주택 수 제한이 풀린 후 무순위 청약에서 기록적인 경쟁률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전국 아파트 평균 청약경쟁률은 8대 1로, 2022년 하반기 4대 1에 비해 높아졌습니다.
여경희 부동산R114수석연구원은 “건설사들이 하반기 밀어내기 분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지만 입지 및 가격경쟁력이 높은 단지로의 수요 쏠림이 심화하고 있어 청약 온기가 전국적으로 확산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미분양 우려 지역 위주로 공급 속도 조절이 지속하면서 7월 계획물량 중 일부는 이월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