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압박 먹혔나... 6월 "빵 및 곡물' 소비자물가지수 전월과 동일
▷ 6월 소비자물가지수 전월대비 변동 無...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는 0.2% ↑
▷ '빵 및 곡물' 6월 소비자물가지수 5월과 동일... 정부, 제분업계 밀가루 가격 인하 요청
▷ 낙농업계와 협상 중인 정부,' 밀크플레이션' 우려는 남아 있어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 5월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의 구입 빈도와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인지하는 생활물가지수 역시 전월대비 변동이 없었으며, 신선식품지수는 오히려 전월대비 0.9% 하락하는 모양으로 나타났습니다.
2023년 6월 기준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2% 오른 116.03%p로 나타났습니다.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상황 속에서 식품 분야의 소비자물가지수가 다소 동결된 듯한 모습을 보이는 데에는 정부의 압박이 있습니다.
지난 6월 26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제분업계 기업 7곳을 모아놓고 밀가루 가격안정 지원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제분업계가 밀가루 가격을 인하한 점에 대해 감사의 마음을 표하고, 밀 수입 가격이 하락한 사실을 밀가루 가격에 적극 반영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밀 수입 가격은 지난 2월 10.9% 상승한 449달러(1톤 기준) 이후로 꾸준히 하락하고 있고, 5월에는 5.1% 감소한 416달러로 나타난 바 있습니다.
시카고 선물거래소의 밀 선물가격도 마찬가지로 하락세를 겪고 있었는데요. 이 자리에 참석한 제분업계는 환율 등 어려운 점은 있으나, 오는 7월에 밀가루 출하가격 인하 가능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정부 요청에 호응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정부의 이러한 압박은 밀가루를 주 원료로 사용하는 농심, 삼양 등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농심은 지난달 27일 부로 신라면과 새우깡의 가격을 각각 4.5%, 6.9% 내렸으며, 삼양 역시 12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4.7% 인하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러한 파장은 SPC 등 제빵업계에도 퍼져나갈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결과적으로, 6월의 ‘빵 및 곡물’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p로 5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오는 7월에는 하락할 여지가 남아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빵 및 곡물과 달리, 소비자물가지수가 전월대비 상승한 식품 분야도 있습니다.
육류, 과일, 과자/빙과류 및 당류, 커피/차 및 코코아, 생수/청량음료 등의 소비자물가지수는 5월보다 올랐습니다.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인 품목은 기후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과일’로 전월대비 2.5% 증가했습니다. 이 중 눈 여겨 볼 품목은 밀가루 못지 않게 우리나라 식생활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우유 및 치즈 계란’입니다.
정부는 지난 6월부터 낙농가와 함께 원유 가격을 협상하고 있습니다. 우유 원유 1리터에 가격을 얼마나 인상할 것이냐를 놓고 논의를 벌이는 중인데요.
흐름상 원유의 가격이 높아질 가능성이 커 ‘밀크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많습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보도자료를 통해 “7월 1일자로 유제품도 가격 올려, 밀크플레이션 우려 목소리 터져 나온다”며 “원유 가격 인상 때마다 유가공업체가 우유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실제로 매일유업은 지난 1일부터 치즈, 식물성 음료 등 일부 제품의 가격을 올린 바 있습니다.
한국소비단체협의회는 “정부는 낙농 산업 발전을 목표로 어렵게 도입시킨 용도별 차등가격제를 통해 우유 가격 안정과 유가공 제품 시장의 활성화에 단초가 될 수 있도록 원유 가격 협상뿐 아니라 유제품 시장에도 그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용도별 가격차등제란, 생산비 변동에 따라 가격을 적용하는 ‘생산비연동제’의 단점을 개선한 제도로, 원유의 ‘용도’를 구분하고 시장상황을 반영한 가격을 적용하는 겁니다.
수요, 공급과 상관없이 오로지 생산비에 의존하던 기존의 가격 결정 구조를 좀 더 유연하게 바꾼 겁니다. 용도별 차등가격제에 따라 우유가격은 시장의 수요, 공급 상황에 따라 긍정적으로 변할 수도 있는 여지를 갖췄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대유 하는짓 보면 기가 찹니다
2대한민국 주식시장을 쓰레기 투기장으로 만든 정치인들은 알면서도 내비두는거지? 대표의 고의적인 잘못을 주주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입게 내비두는 것이 진정 국가가 존개한다라고 볼 수 있나? 개인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상법개정을 하루빨리 시행해라.
3이번일을 계기로 국내 주식시장에 경종을 울리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더이상 주가조작세력을 묵인해선 안될것입니다.
4주가조작세력 및 범죄지들이 국내 주식시장을 어지럽히는 문제점을 없어져야 합니다.
5소액주주 권리, 꼭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의 기사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긴 시간 회사의 횡포에도 굳건한 대유 소액주주 연대 항상 응원합니다. 꼭 이루어지길 빌면서…
6귀한정보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7대유 소액주주연대 화이팅하세요. 기자님~ 정확한 정보 기사화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 기사 계속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