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韓∙中, 인어공주 흥행 부진 원인이 인종차별 때문?
▷실사화 ‘인어공주’ 개봉 후 엇갈리는 평가
▷인어공주, 한국과 중국 박스오피스 부진

(출처=네이버 영화)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흑인 배우가 주연을 맡으며,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된 디즈니의 신작 ‘인어공주’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지난 7일(현지시간) CNN은 한국과 중국 등 일부 국가에서 실사판 ‘인어공주’에 대한 비판이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나라별로 엇갈리는 평가
인어공주는 지난 26일 중국에서 개봉한 뒤 5일간 약 1950만 위안(약
35억원)의 흥행수입을 거뒀습니다. 하지만 이는 같은 기간 개봉한 ‘스파이더맨’ 시리즈 최신작인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의 1억 4200만
위안(약 257억)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에서는 지난달 24일에 개봉해 첫 주 47만2000명의 관객을 동원했지만,
액션 영화 ‘분노의 질주10’ 개봉 첫 주 누적
관객수인 64만 3000명을 밑돌았습니다.
인어공주에 대한 관람객 평점 또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에서 인어공주의 평점은 네이버 영화 정보 기준으로 6.48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 2019년 개봉했던 디즈니 실사 영화 ‘알라딘’의 평점인 9.41점(네이버 영화 정보 기준)에 한참 뒤쳐졌습니다.
중국의 미디어 평점 사이트인 ‘도우반’에서도 인어공주의 평점은 10점 만점 중 5.1점을 기록해 절반을 겨우 넘는 수준에 불과했습니다.
반면 인어공주는 이탈리아와 독일을 비롯해 영국과 호주 등 국가에서는 영화 순위 1위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메모리얼 데이(미국 현충일) 연휴 기간 동안 1억 2100만달러(약 1566억)를 벌어들이면서
북미 박스 오피스 1위를 차지했습니다.
#韓∙中, 흥행부진의 원인이 흑인 배우에 대한 차별 탓?
실사화 ‘인어공주’는 흑인
배우를 기용하면서 개봉 전부터 지나친 PC(Political Correctness:정치적 올바름) 주의와 ‘블랙 워싱’ 논란을
낳았습니다.
하지만 감독인 롭 마샬 감독은 할리 베일리를 인어공주로 기용한 이유에 대해 “‘최고의 에리얼’을 찾으려고 한 결과”라면서 “비백인을 기용할 의도가 있었던 것은
아니라”고 논란을 일축했습니다.
이후 할리 베일리가 직접 부른 인어공주의 대표곡 ‘파트 오브 유어
월드(Part of your world)’ 영상이 공개돼 호평을 받으면서 논란은 수그러들었습니다. 이전 ‘알라딘’에서 흑인
배우 월 스미스가 지니 역을 맡으면서 캐스팅 지적을 받았지만, 영화가 개봉한 후 평단의 호평을 받은
바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인어공주가 개봉한 후 여론은 급속도로 나빠졌습니다. CNN은
이와 관련해 한국과 중국에서 인어공주의 주인공인 에리얼 역에 흑인을 기용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CNN은 중국 영화 티켓 플랫폼 마오얀에서 “내가 알고 있는 인어공주는 백인이다”, “어릴 적 듣고 자란 동화가 무색하다”는 등 영화를 비판하는 글이 이어졌고, 한국에서도 인스타그램에 #Not My Ariel(내 에리얼이 아니야)라는 해시태그와 함께 영화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이어졌다고 주장했습니다 .
반면 미국 내에서는 흑인 소녀들이 할리 베일리의 인어공주를 환영하며, 박스오피스 2위를 차지했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CNN의 보도와 달리 미국 내에서도 할리 베일리 캐스팅에 대한
설왕설래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난 30일 틱톡, 트위터
등 SNS 상에는 미국의 한 극장에서 흑인과 백인 부모가 싸움을 벌인 영상이 공개됐습니다. 영상에 따르면 영화를 보던 백인 아이가 흑인 인어공주를 향해 “괴물같다”고 혼잣말을 했는데, 앞자리에 앉은 흑인 부모가 참지
못하고 일어나 욕을 하며 거세게 항의했습니다.
주변에서 흑인 부모를 말렸지만, 이들은 백인 어린이를 향해 “직접 물어보겠다”라고 고함을 치며 욕설을 퍼부었습니다. 백인 부모도 이에 맞서면서 극장은 순식간에 난장판이 됐습니다.
해당 영상을 본 미국 누리꾼들은 “애니메이션 ‘인어공주’와 너무 다른 외모에 놀란 아이들이 많았다”, “미리 아이에게 인어공주가 흑인이라는 설명을 안 한 백임 부모 잘못이 크다”
등의 반응이 나왔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