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행사 도중 넘어진 바이든 대통령...백악관, "건강에 이상 없어"
▷미군 공군사관학교 찾은 바이든 대통령…모래주머니에 걸려 넘어져
▷백악관, “대통령 건강엔 이상 없어”…끊임없이 제기되는 건강 이상설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군 공군사관학교 졸업식 행사 도중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지난 1일(현지시간) 백악관 공동취재단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의 공군사관학교에서 열린 야외 졸업식
행사 도중 바닥에 있는 검은 모래주머니에 발이 걸려 넘어졌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비밀경호국(SS) 소속 경호관들과 사관학교 관계자들의
부축을 받고 곧바로 자리에서 일어났습니다. 그는 혼자 자리로 돌아갔고,
도중에 검은 모래주머니를 손가락으로 가리키기도 했습니다.
이후 벤 라볼트 백악관 공보국장은 트위터를 통해 “대통령님은
괜찮다. 무대 위에 무래주머니가 있었다”며
바이든 대통령의 신변에 이상이 없음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올해로 80세 고령인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후 자주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모습을 보이며,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문제 제기가 꾸준히 있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021년 3월
대통령 전용기인 에어포스원에 탑승에 탑승하기 위해 계단을 오르던 중 발을 헛디뎌 넘어졌고, 그 다음해에는
개인 별장이 있는 델라웨어주 레호보스 비치 인근의 헨로펀 주립공원에서 자전거를 타다가 페달 클립에 발이 걸려 넘어지기도 했습니다.
또한 바이든 대통령은 공식 석상에서 잦은 말실수를 반복하는 모습을 보여 ‘치매설’이 돌기도 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출마한 존 페터먼 연방상원의원 후보를 지원하는 민주당 행사에서
공화당이 오바마케어를 폐지하겠다고 공약했지만 민주당이 이 시도를 저지했다며, “우리는 54개 주에 갔다”라는 실언을 했습니다. 미국에서는 전체 주 수가 50개라는 것이 기초 상식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달 열린 G7에선 윤석열 대통령을 ‘룬 대통령’이라고 성을 잘못 부르거나, 기시다 총리를 ‘기시다 대통령’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누가 소액주주와의 연대와 경제정의 실현, 주주보호를 참칭하며 주주들 뒷통수를 친 건지 , 코아스는 대답해야 한다. 누가봐도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결국 회사 인수에도 실패, 그러고도 무슨 낯짝으로 이화피해주주보호와 연대를 외치는 건지, 정리매매 때 싼값에 주식사서 한탕해먹으려던 뻔한 수작, 뻔한 민낯 ..
2코아스같은 기업이 한국땅에 존재하는 한 이화연대 주주같은 피해자는 계속 양산될것이다. 만약 이재명정부의 고위직에 계신분이 이화주주연대의 이 피끓는 절규들을 읽으신다면 특별법에의거해서 철저한 조사와 시장교란행위에대해 엄벌을 내려주시길 바랍니다.
3이화그룹주식으로 가슴에 피멍이든 우리주주연대를 우습게 보지 말아라 2년6개월동안 수많은 날들을 이주식 살리고자 밤잠을 설쳐가며 고민했고 실날같은 거래재개를 위해 한국거래소 국회 여의도에서 목이터져라 외쳐댔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기억이나 하는가 ᆢ진정 우리들의 눈물의밥을 짐작이나 하겠느냐 같이 주주운동을하다 암으로 죽어가며 언니 거래재개 못보고 갈것같애 하던 동생이 생각난다 많은 주주연대 사람들의 고통과 땀과 인내로 견뎌온 주주연대를 최대치로 대우하고 인정하고 보상해줄 각오하고 코아스는 연대와 협상에 임하라
428만 주주의 피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정리매매 속 지분 매입은 주주 보호가 아닌 사익 추구일 뿐입니다. 진정한 책임은 회피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주를 위한 투명한 협의와 사과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5것도 좋은 잉시지라고 봅니다 코아스는 진정한 기업이라면 이제라도 주주연대와 협협의에 나서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주주들은 좋고요
6코아스 당신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들 너의가 고스란이 거두어갈것이다 이화그룹3사는 이 본질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화주주연대와의 진정어린 사과와 협의를 최션을 다하여 임해주길 바란다
7코아스는 이화그룹 싸게 먹을려다 오히려 당하게 생겼으니 소액주주와 소통을 한다.처음부터 소통을 하지 죽게 생겼으니 이제와 무슨말을 합니까. 계획도 없으면서 그냥 싼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