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규제에 동의한 G7... 세부적인 부분에선 의견 차이 有
▷ G7, '생성형 AI' 규제 논의
▷ 규제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는 EU
▷ 규제의 세부적인 모습에 대해선 G7간 의견 차이 있어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Open AI가 개발한 ChatGPT는 전 세계에 AI 열풍을 불러일으켰습니다. 2023년 3월 기준, ChatGPT를 이용하는 전 세계 이용자는 약 2억 명 이상, 무엇이든 물어보기만 하면 짧은 시간 내에 대답해주는 대화형 AI는산업에 연구 활력을 불어넣었습니다.
세계 각국의 유수한 IT 대기업들이 ChatGPT 못지 않은 AI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요.
ChatGPT, 즉 ‘생성형 AI’가 지난 5월 19~21일에 열린 제48차 G7 정상회의의 의제로 올랐습니다. 생성형 AI를 이용한 악용사례가 여럿 발견되고 있다며, 이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겁니다.
시험에서 ChatGPT를 이용해 답안을 제출하거나, 거짓된 정보를 기반으로 가짜뉴스를
생산해내는 등의 부정적인 사례는 이미 여럿 발견된 바 있는데요. 특히,
G7 국가들은 중국, 러시아 등 자신들과 적대적인 국가들이 생성형 AI를 이용해 거짓 정보를 보내거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하는
등 불법적인 일을 저지르고 있다고 경계했습니다.
★생성형 AI: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결과를 능동적으로 생성해내는
인공지능 기술, AI가 이용자의 질문이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스로 데이터를 찾아 학습하고, 이를 토대로 결과물을 제시하는 진보된 AI 기술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이미 규제 마련에 착수한 상황입니다. ‘2023년 제48차 G7 정상회의 주요 논의 결과와 시사점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의 경우, 생성형 AI 규제 관련 TF를 설치해 새로운 규제법을 검토하고 연내에 합의를 도출하겠다고 나섰습니다.
생성형 AI를 가장 높은 ‘위험’(Lisk)으로서 분류하고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반드시 정부의 평가를 받도록 하는 방안을 논의 중에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상무부에서 AI의 감사 및 평가 방식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 중에 있습니다.
한국지식재산연구원이 발간한 ‘미국의 AI 규제 동향 및 시사점’에 따르면, 최근 미국의 AI 규제는 AI 기술 사용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기 위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고 있습니다. 생성형 AI가 차별을 심화시키거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유출시키는 등의 사례를 규제로서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겁니다.
“(생성형 AI의) 폐해를 막기 위한 규칙을 마련해야 한다. 국제적 규칙도 만들어 가지 않으면 안 된다”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발언처럼, 일본도 마찬가지로 ‘AI 전략회의’를 개최해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중국은 생성형 AI를 통해 사회주의 체제의 전환 및 국가 분열을 선동하는 내용을 구성하는 것을 금지한 바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엔 지난 2020년 12월에 발표한 ‘인공지능 법/제도/규제 정비 로드맵’ 이후 뚜렷한 방안이 아직까진 부재한 상황입니다.
다만, 생성형 AI 규제에 대한 상반된 시선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생성형 AI가 발전하는 건 자연스러운 시대의 흐름인데, 섣부른 규제로 이를 거슬러서는 안 된다는 겁니다.
생성형 AI 규제에 적극적인 EU 내부에서도 슬로베니아 등의 국가는 산업을 육성한다는 취지에서 규제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규제에 동의한 미국조차도, 생성형 AI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적인 혁신을 부정하지 않으면서 나름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G7 정상들은 생성형 AI에 대해 ‘인간 중심의 신뢰할 수 있는 AI를 구축해야 한다’는 방안에 의견을 모았습니다만, 세부적인 부분에선 다시 의견이 갈렸습니다. ‘적절한 규제의 필요성’에는 동의하면서도, 규제 방식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 겁니다.
각료급 회의에서 유럽 국가들은 생성형 AI를 규제할 수 있는 보다 큰 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AI가 만든 작품에 ‘Made with AI’ 등의 라벨을 표시하는 등 G7 차원에서 제정하고 각국이 협조하는 규제를 만들어야 한다는 겁니다. 반면, 미국은 기존 법률을 재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으며, 일본은 법률보다는 가이드라인으로 생성형 AI를 규제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습니다.
EU보다는 다소 소극적인 셈입니다. 이와 관련, 김승현 세계지역연구센터 일본동아시아팀 전문연구원은 “생성형 AI 규제를 둘러싸고 참여국들은 ‘연내 가이드라인 책정’이 목표지만, 규제 방식과 적용 범위 등에 있어 EU와 미국, 일본의 입장차가 명확하며 목표 시기까지의 입장 조율이
불투명한 상황”이라 진단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