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지난해 농가소득 4,615만 원... 농업소득률 27.4%로 감소

▷ 지난해 농가소득 4,615만 원, 전년대비 161만 원 줄어들어
▷ 경영비는 급등, 과일을 제외한 대부분의 품목 가격은 급락

입력 : 2023.05.18 16:30
지난해 농가소득 4,615만 원... 농업소득률 27.4%로 감소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농가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소득은 4,615만 원으로 전년대비 3.4%(161만 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각종 원자재값이 오르면서 경영비가 급등한 반면, 쌀이나 한우값 등은 떨어졌기 때문인데요. 2022년 기준 농업소득에서 농업총수입을 나눈 뒤, 백분율로 만든 농업소득률27.4%로 기록되었습니다. 2021(34.9%)에 비해 크게 감소했는데요.

 

양곡관리법 개정안의 통과 여부를 두고 논란을 빚었던 쌀의 경우, 지난해에 재배면적이 감소하고 작황이 부진했습니다. 수요가 뚜렷하게 늘어나지 않은 채 쌀이 계속해서 시장에 풀리다 보니 지난해 9월까지 산지쌀값은 지속적으로 하락했는데요.


이에 따라 쌀재배농가 농작물수입은 2021702만 원에서 지난해 607만 원으로, 전년 대비 무려 13.5%나 떨어졌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채소와 과일, 한우 등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났습니다. 한우는 202121,169원까지 가격이 올랐지만 공급이 늘어나면서 2022년엔 19,018원까지 감소했습니다.


계란 역시 가격이 하락하면서 축산분야의 총수입은 떨어졌습니다. 채소의 경우, 판매가격은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기상재해가 문제였습니다. 수해, 가뭄 등으로 생산량이 줄어 총수입은 소폭 감소했습니다. 다만, 과일은 생산량이 늘고 시설이 현대화되면서 품질이 향상되었고, 가격도 함께 올라 총수입은 늘었습니다.

 

반면, 경영비는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공급망이 경색되면서 주요국은 비료의 수출을 제한했습니다. 비료비가 상승하는 건 물론 국제곡물 가격이 오르면서 사료비도 증가했고, 전기요금 인상 등 농가를 경영하는데 필요한 유지비 거의 대부분이 늘어났습니다.


특히, 비료비와 사료비가 전년대비 각각 19.3%, 17.8%라는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는데요.


농업외소득 부문은 비교적 나아진 듯합니다.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농촌융복합산업 인증경영체 수가 전년대비 8.4% 늘었고, 농촌관광객들이 27% 증가했습니다. 그 결과 2022년 농업외소득은 1,920만 원으로 전년 대비 7.4%(132만 원) 올랐습니다.


종합하자면 2022년 말 기준 농가의 평균 자산은 61,647만 원으로 전년 대비 5.3% 증가했습니다만, 부채는 3,502만 원으로 4.3% 줄어들었습니다.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전년보다 0.5% 줄어든 5.7%로 나타났는데요.


정부는 앞으로도 농가 소득안정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이다. 농가 경영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중소농을 중심으로 소득보전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기본직불을 개편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여기에 농업 분야 내외국인 인력공급을 대폭 늘리는 등 인력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는데요.

 

정부가 농촌 인력에 대해 신경을 기울이는 근본적인 이유는 인구 불균형 때문입니다.


수도권에 비해 지방에는 청년이 없어 소멸이 가속화되고 있는데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전망 2023’에 따르면, 지난 2010~2020년까지 10년간 소폭 증가했던 농촌인구가 2021년 감소하기 시작했다, “2050년 농촌인구는 현재보다 약 130만 명 감소한 845만 명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2018~2020년의 농촌 인구가 960만 명이라는 정점에 달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30년 만에 100만 명의 농촌 인구가 줄어드는 셈인데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그 영향으로 미래 농촌에는 젊은 세대층이 극히 적어져 각종 사회서비스 공급의 어려움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인프라가 열악해지는 건 물론 농업 기술과 네트워크가 약화돼 농가의 소득 역시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높아지는데요.


이와 관련,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인구감소의 악순환 고리를 끊어내기 위해서는 혁신적 생활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전장연 은 사라져야 합니다 장애인 중 에서도 불쌍한 중증발달장애인 의 보금자리를 공격하여 배 를 불리려하는 일에 혈안 이 되었습니다. 같은 시대에 대한민국 사람으로 산다는게 창피하고 괴롭습다. 당신들은 그곳에서 정의(?)롭게 사시기바랍니다. 제발 귀국 하지 마세요!!!

2

서울시가 자립정책 이념에 따라 2021년 폐쇄된 김포시 거주시설 ‘향000’에서 자립한 중증장애인 55명을 추적 조사했는데, 6명이 퇴소 후 3년 안에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자립한 장애인 10.9%가 사망에 이른 통계였다고 하면서, 4명은 다른 시설에 입소했고, 7명은 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했다. 38명은 서울시 지원 주택에서 ‘자립’하고 있는데 이 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은 9명뿐이었다고. 다른 9명은 고갯짓이나 ‘네’ ‘아니오’ 정도의 말만 가능했고, 20명은 의사소통이 아예 불가능한 분들이었다. 장애인 자립은 죽음이다.

3

un 은 장애인들의 자립은 지제장애인, 정신장애인으로 제한한다고 했다.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이다. 최보윤, 김예지. 서미화 의원은 장애에는 여러유형이 있고,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이 있고, 자립할 수 없는 장애인ㅇ이 있다는 것을 먼저 공부하라!!

4

중증발달장애인을 죽음으로 내모는 약덕법을 철회하라

5

증증장애인시설을 존치하고 확대하라 지금도 집에서 고통받고 있는가족들 구하라 차립할대상은 자립하고 증증은 시설에서 사랑받고 케어해주는 일은 당연 하고 복지국가 로 가는길이다 탈시설 철회하라

6

증증발달장애인 시설을 업애려면 전국 병원 용양원 을 업애버려라 자폐 발달 정산지제 증증도 환자도 24시간 돌봄이 필요한 환자다 탈시설을외치는 자들은 우리 증증아이들을 죽이러 하는가 시설에서 잘사는것도인권이고 평등 사랑이다 탈시설화 철회 하라 시설 존치 신규 시설 늘여야 한다

7

전장연 을 해체하고 박경석을구속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