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추 부총리, "수출 경쟁력 강화 위해 모든 정책적 역량 집중"... 부담금제도 개선

▷ 추 부총리, 디스플레이산업 혁신전략 등 4가지 수출의제 논의
▷ 수출 인프라 보강을 위해 부담금제도 개선 방안 내세워

입력 : 2023.05.17 10:10
추 부총리, "수출 경쟁력 강화 위해 모든 정책적 역량 집중"... 부담금제도 개선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17일 오전, 추경호 기획재정부 장관 겸 경제부총리 주재로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가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서 논의한 의제는 크게 네 가지로, ‘세계 1위 탈환을 위한 디스플레이산업 혁신전략’, ‘중소기업 수출상황 점검 및 대응방안’, ‘글로벌 시장 선도 K-블루푸드 수출 전략’, ‘부담금제도 개선방안입니다. 초점은 주로 수출에 맞춰져 있는 듯합니다.

 

자동차, 선박 등의 수출품목이 선전했으나 그보다 많은 반도체, 석유화학, 디스플레이 등이 부진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관련, 추 부총리는 정부는 어려운 대외여건 속에서도 조속한 수출 반등을 위해 주력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와 새로운 수출동력의 확충, 중동/아세안 지역 등으로의 수출시장 다변화, 수출 인프라를 보강하는 방향으로 전부처가 총력 지원하겠다고 전했는데요.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曰 앞으로도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모든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는데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

 

디스플레이 산업 핵심기술에 대한 민간투자 촉진, 인천공항 중소기업 전용 스마트물류센터 구축, K-블루푸드 마케팅 지원 강화 등의 방안들 가운데, 눈에 띄는 건 부담금 제도의 전면 개선입니다.

 

여기서 등장하는 부담금이란, 재화 또는 용역의 제공과 관계없이 특정 공익사업과 관련하여 법률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부과하는 조세 외의 금전지급의무를 뜻합니다. , 공공기관이 일련의 공익사업을 위해 경비를 충당한다는 겁니다.

 

사용, 수수료와는 차이가 있으며, 부담금은 해당 사업과 특별이해관계가 있는 자에게 부과됩니다. 부담금 내에서도 인적 공용부담금, 수익자부담금, 원인자부담금 등 종류가 여럿 나뉘는데요.

 

2021년 말 기준, 18개 부처가 운용하고 있는 부담금은 총 90개로, 그 규모는 21.4조 원에 달합니다.

 

분야 별로는 금융이 약 54천억 원(25.4%), 산업/에너지가 약 47천억 원(22.2%), 보건/의료가 약 29천억 원(13.8%) 등이 있습니다. 이들로부터 걷은 부담금 수입의 대다수는 재정수입(기금 및 특별회계)으로 귀속되며, 전체 부담금의 85.4%(18.3조 원)는 중앙정부 사업에, 나머지(3.1조 원)은 지자체/공공기관 사업 등에 사용됩니다.

 

윤 정부는 이 부담금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국민소득이 늘어나고, 산업이 발전하는 등 우리나라의 경제 사회 환경이 다소 변화한 데에 반해, 부담금제도(부담금관리법)는 제정 이후 20년 동안 별다른 변화가 없었습니다.

 

부담금제도의 종류 중 20년을 넘긴 것만 74%에 달할 정도로 오랜 기간 같은 모습을 유지해 왔는데요.

 

정부는 부담금 제도개선안의 목표를 두 가지로 설정했습니다. 먼저, 90개 대상 부담금 중 23개 부담금을 선정해 정비에 들어갑니다.

 

학교용지부담금, 폐기물처분부담금 등 기업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부과기준을 재설정하고, 부담자 간 형평성 등을 고려하여 출국납부금의 면제 대상을 확대하는 등의 방안이 담겨있는데요.

 

이외에도 전기/전자제품 재활용, 회수부과금 같이 목적이 동일한 부담금을 통합 관리하고, 장애인고용 부담금을 페널티가 아닌 인센티브 형식으로 바꾸는 등의 계획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향후 정부는 국민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부담금관리법을 개정하고, 부담금운용심의위원회의 역할을 강화하는 건 물론, 오는 7월에는 부처별 세부계획을 수립해 본격적인 정비에 나서겠다고 전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