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굶으면 복부비만, 이상지질혈증 등 대사증후군 위험 가능성 높아
▷ 아침 굶은 남성, 저녁 굶은 것보다 대사증후군 위험 1.22배 높아
▷ 아침식사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결과를 끼친다는 연구 결과도
▷ 반대로 저녁식사의 비중이 높으면 높을수록 건강에 악영향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아침을 먹지 않고 하루에 두 끼만 먹는 사람은 복부비만과 고혈압 등 만성질환에 더 쉽게 걸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농촌진흥청이 한국교원대학교(이경원 교수팀)과 협력해 식사방식과 만성질환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저녁을 굶은 남성보다 아침을 굶은 남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이 1.2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사증후군이란, 복부비만과 고혈압, 고혈당, 이상지질혈증, 저HDL-콜레스트롤혈증 5가지 요인 중 3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당뇨나 심혈관계 질환, 지방간 등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치명적인 질병 요인입니다.
아침을 굶고 하루에 두 끼를 섭취하는 남성의 경우, 복부비만에 걸릴 위험이 무려 1.28배, 이상지질혈증은 1.20배에 달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여성도 마찬가지로, 아침을 결식한 여성은 고혈당 장애 위험률이 1.20배, 이상지질혈증이 1.19배, 저HDL콜레스트롤혈증 위험이 1.1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아침식사가 육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김미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이 집필한 ’20, 30대 직장인의 아침식사 현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논문에 따르면, 20대~30대 직장인 19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주로 아침식사를 하는 응답자들이 개별항목에서 더 높은 삶의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종합적인 점수로는 아침식사와의 유의성을 찾기가 어려웠으나, 행복 만족도와 여가 만족도에서는 아침식사와의 유의성이 드러난 겁니다.
해당 논문에서는 “20, 30대 직장인들의 건강한 삶의 유지, 워라밸 및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 아침식사의 결식률을 줄일 수 있도록 아침식사를 할 수 있는 환경조성 및 급식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아침식사 인식에 대한 변화를 통한 건강관리를 위하여 성인에 맞는 다양한 영양교육 활동의 개발과 활동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는데요.
반대로, 저녁을 결식하고 야식을 줄이면 줄일수록 건강에 좋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농촌진흥청의 연구 결과 저녁을 굶은 여성의 경우 고혈당 장애 위험이 0.74배 감소했으며, 야간 공복 시간이 가장 긴 집단이 가장 짧은
집단보다 당뇨 위험이 남녀 평균 0.76배 줄어들었습니다. 즉, 저녁을 이른 시간에 섭취한 뒤 다음날 아침식사까지 아무것도 먹지 않는다면 당뇨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아울러, 저녁 식사(18~21시) 때 기름진 고열량의 식사를 할수록, 에너지 섭취 비율이 40%를 넘길수록 당뇨 위험은 1.36배 증가했습니다. 특히, 여성은 21시 이후 에너지 섭취 비율 25% 이상으로 야식을 먹을 경우 당뇨 위험이 1.61배 높게 나타났습니다.
유선미 농촌진흥청 식생활영양과 과장 曰 “무엇을 얼마나 먹느냐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먹느냐, 즉 식행동도 우리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식행동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즉, 아침 식사를 섭취한 뒤 저녁을 일찍 먹고 적게 먹을수록 건강에 좋은 셈인데, 문제는 우리나라의 아침식사 결식률이 높다는 점입니다.
질병관리청이 매년 수행하고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2019년 당시 전체 아침식사 결식률은 31.3%였으나 2020년엔 34.6%로 상승했습니다.
2021년엔 그나마 하향세를 보여, 전체 아침식사
결식률은 31.7%로 나타났는데요. 다만, 2010년대에 비해 2020년대에 아침식사 결식률이 높아진 건 여전한
사실입니다. 10년 전엔 10명 중 2명이 아침을 먹지 않았다면, 2020년대 들어서는 10명 중 3명이 아침을 거르는 셈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