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만에 총파업에 나선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교육당국 비상
▷임금 차별 해소 등 촉구에 나선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
▷일부 학교에서는 급식 차질로 빵∙우유 등 대체식 제공

(출처=전국학교비정규노동조합)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급식과 돌봄 업무에 종사하는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31일 총파업에 나섰습니다. 지난해 11월에 이후 넉 달만입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조 등으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이날 전국 시도교육청 앞과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
등에서 집회를 연다고 밝혔습니다.
주최 측에 따르면 이번 총파업 규모는 전체 교육 공무지원의 12.7%인
2만1470명이 참여했던 지난해 11월 파업 당시와 비슷하거나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파업 당시에는 전국에서 급식을 실시하는 유치원과 초∙중∙고교 가운데 3181곳(25.3%)의 급식 운영에 차질을 겪은 바 있습니다.
연대회의
측은 정규직과의 임금 차별 해소, 명절휴가비 기본급의 100% 등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들은 교육부를 비롯해 17개
시∙도교육청과 지난해 9월부터 7개월 넘게 집단 임금교섭을
진행 중이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이밖에도
학교 비정규직들은 급식실 폐암 종합대책 마련 등도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난
14일 교육부는 ‘학교 급식종사자 폐암 건강검진 중간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4개 시∙도 교육청의 학교 급식 종사자 2만 여명 중 31명이 폐암을 확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폐암 의심자는 139명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급식종사자의
폐 질환 원인으로는 튀김, 볶음, 구이 등 조리할 때 발생하는
‘조리흄’이 지목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조리흄을 유발하는 요리는 오븐을 사용하도록 하고 튀김류 요리는 주 2회 이하로 제한하는 등의
대책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연대회의는 “폐암 산재 및 높은 노동 강도로 인한 급식실 종사자들의 조기 퇴사, 신규 채용 미달 등의 인력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대책”이라고
맞서고 있습니다.
한편
교육당국은 이날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파업 참여 정도에 따라 식단을 간소화하거나 도시락을 지참하고, 빵이나
우유 등의 대체식을 제공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돌봄과
특수교육 분야에서는 학교 내 교직원을 최대한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시교육청은
“임금교섭 타결을 위해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과 공동으로 최선을 다해 교섭에 응하겠다”며 “파업으로 인해 신학기 학생들의 교육활동
및 학부모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