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4개월만에 총파업에 나선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교육당국 비상

▷임금 차별 해소 등 촉구에 나선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
▷일부 학교에서는 급식 차질로 빵∙우유 등 대체식 제공

입력 : 2023.03.31 13:33
 


(출처=전국학교비정규노동조합)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급식과 돌봄 업무에 종사하는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31일 총파업에 나섰습니다. 지난해 11월에 이후 넉 달만입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조 등으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이날 전국 시도교육청 앞과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 등에서 집회를 연다고 밝혔습니다.

 

주최 측에 따르면 이번 총파업 규모는 전체 교육 공무지원의 12.7%21470명이 참여했던 지난해 11월 파업 당시와 비슷하거나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파업 당시에는 전국에서 급식을 실시하는 유치원과 초∙고교 가운데 3181(25.3%)의 급식 운영에 차질을 겪은 바 있습니다.

 

연대회의 측은 정규직과의 임금 차별 해소, 명절휴가비 기본급의 100% 등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들은 교육부를 비롯해 17개 시∙도교육청과 지난해 9월부터 7개월 넘게 집단 임금교섭을 진행 중이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이밖에도 학교 비정규직들은 급식실 폐암 종합대책 마련 등도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난 14일 교육부는 학교 급식종사자 폐암 건강검진 중간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4개 시∙도 교육청의 학교 급식 종사자 2만 여명 중 31명이 폐암을 확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폐암 의심자는 139명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급식종사자의 폐 질환 원인으로는 튀김, 볶음, 구이 등 조리할 때 발생하는 조리흄이 지목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조리흄을 유발하는 요리는 오븐을 사용하도록 하고 튀김류 요리는 주 2회 이하로 제한하는 등의 대책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연대회의는 폐암 산재 및 높은 노동 강도로 인한 급식실 종사자들의 조기 퇴사, 신규 채용 미달 등의 인력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대책이라고 맞서고 있습니다.

 

한편 교육당국은 이날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파업 참여 정도에 따라 식단을 간소화하거나 도시락을 지참하고, 빵이나 우유 등의 대체식을 제공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돌봄과 특수교육 분야에서는 학교 내 교직원을 최대한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시교육청은 임금교섭 타결을 위해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과 공동으로 최선을 다해 교섭에 응하겠다파업으로 인해 신학기 학생들의 교육활동 및 학부모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