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4개월만에 총파업에 나선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교육당국 비상

▷임금 차별 해소 등 촉구에 나선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
▷일부 학교에서는 급식 차질로 빵∙우유 등 대체식 제공

입력 : 2023.03.31 13:33
 


(출처=전국학교비정규노동조합)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급식과 돌봄 업무에 종사하는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31일 총파업에 나섰습니다. 지난해 11월에 이후 넉 달만입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조 등으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이날 전국 시도교육청 앞과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 등에서 집회를 연다고 밝혔습니다.

 

주최 측에 따르면 이번 총파업 규모는 전체 교육 공무지원의 12.7%21470명이 참여했던 지난해 11월 파업 당시와 비슷하거나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파업 당시에는 전국에서 급식을 실시하는 유치원과 초∙고교 가운데 3181(25.3%)의 급식 운영에 차질을 겪은 바 있습니다.

 

연대회의 측은 정규직과의 임금 차별 해소, 명절휴가비 기본급의 100% 등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들은 교육부를 비롯해 17개 시∙도교육청과 지난해 9월부터 7개월 넘게 집단 임금교섭을 진행 중이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이밖에도 학교 비정규직들은 급식실 폐암 종합대책 마련 등도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난 14일 교육부는 학교 급식종사자 폐암 건강검진 중간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4개 시∙도 교육청의 학교 급식 종사자 2만 여명 중 31명이 폐암을 확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폐암 의심자는 139명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급식종사자의 폐 질환 원인으로는 튀김, 볶음, 구이 등 조리할 때 발생하는 조리흄이 지목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조리흄을 유발하는 요리는 오븐을 사용하도록 하고 튀김류 요리는 주 2회 이하로 제한하는 등의 대책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연대회의는 폐암 산재 및 높은 노동 강도로 인한 급식실 종사자들의 조기 퇴사, 신규 채용 미달 등의 인력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대책이라고 맞서고 있습니다.

 

한편 교육당국은 이날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파업 참여 정도에 따라 식단을 간소화하거나 도시락을 지참하고, 빵이나 우유 등의 대체식을 제공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돌봄과 특수교육 분야에서는 학교 내 교직원을 최대한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시교육청은 임금교섭 타결을 위해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과 공동으로 최선을 다해 교섭에 응하겠다파업으로 인해 신학기 학생들의 교육활동 및 학부모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