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 학폭 근절 대책 지시...교육부, 학폭근절 대책 마련 나서
▷교육부, “3월말쯤 학폭 대책 마련할 것”
▷학폭 논란에 사회적 공분 커지자 대통령실 진화 나서

(출처=대통령실)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아들의 학교 폭력 논란에 휩쌓인 정순신 국가수사본부장이 하루 만에 낙마한 가운데 교육부가 학교폭력 근절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교육부 관계자는 27일 정례 브리핑에서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이 10년 이상 지났기 때문에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며 “최근 발생한 사안과 관련해 사회적으로
우려와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어 그런 부분을 논의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학폭 예방∙근절을
위한 시행계획을 매년 3월 말쯤 마련했는데, 그 정도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논의과정을 봐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습니다.
교육부가 이렇게 적극적인 대응에 나선 것은 정 변호사의 아들 사건이 적지 않은 사회적 공분을 일으키고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앞서 정 변호사 아들은 2017년 5월부터 2018년 초까지 피해 학생에게 지속적인 언어폭력을 가해 2018년 3월 학폭위에서 ‘강제
전학’ 처분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정 변호사 측은 전학 처분을
취소해달라는 행정소송을 냈고, 대법원까지 간 끝에 2019년
4월 최종 패소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정 변호사 아들은 전학 처분을 받은 지 1년이 지나서야 전학을 간 것이 알려지면서 해당 기간 동안 피해 학생이 2차 피해에 노출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해당 논란이 온라인 상에서 빠르게 퍼지면서 누리꾼들의 비판도 거세지고 있습니다. 한 누리꾼은
“피해학생은 가해자에게 1년 이상 학폭을 당한데 이어 가해자
아버지한테도 1년간 소송으로 괴롭힘을 당했다”며 “사과와 반성으로 끝날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다른 누리꾼은 “더 글로리가 현실로 튀어나왔다”면서 “한 가족이 피해자를 무자비하게 유린했다”고 맹비난했습니다.
비난 여론을 의식해서인지 윤석열 대통령은 27일 “교육부는 지방 교육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학교폭력 근절 대책을 조속히 보고하고”고 지시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고 이같이 지시했다고 김은혜 홍보수석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밝혔습니다.
한편 대통령실은 정 변호사의 낙마에 관련해서 “현재 공직자 검증은
공개된 정보, 합법적으로 접근 가능한 정보, 세평 조사를
통해 이뤄지는데 이번에 자녀 관련 문제이다 보니 미흡한 점이 있었다”면서 “합법적 범위 내에서 개선 방안이 있는지 찾아보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학폭에 대한 윤석열 대통령의 입장은 명확하다”며 “대통령은 학폭이 자유롭게 공정하게 교육받을 수 있는 권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