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4분기 건설공사 계약액 급감…향후 전망은?

▷66조7000억원…민간 및 공공 모두 감소
▷상위 1~50위 건설사 계약액도 26% 줄어
▷”올해까지 힘들고 2024년부터 회복국면”

입력 : 2023.03.27 16:41 수정 : 2023.03.27 16:46
4분기 건설공사 계약액 급감…향후 전망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지난해 4분기 건설공사 계약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8.4% 감소했습니다. 공공 및 민간 분야 등에서 공사 계약이 줄어든 탓입니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건설공사 계약액은 667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주체별 분류를 보면 공공은 171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2% 떨어졌습니다. 같은 기간 민간 분야는 22.5% 감소한 694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또한 공종별로는 토목은 6.8% 증가한 179000억 원, 건축은 주거용∙사업용 등이 감소하며 24.8% 줄어든 488000억원을 나타냈습니다.

 

기업 규모별 계약액을 보면 상위 1~50위 기업이 243000억원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26% 감소했습니다. 51~100위 기업은 36000억원으로 23% 줄었습니다. 101~300위 기업은 61000억원(-29.7%), 301~1000위 기업은 58000억원(-17.5%)을 기록했습니다.

 

지역별(현장 소재지별)로 보면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감소세를 나타냈습니다. 수도권이 30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6%, 비수도권은 362000억원으로 17.3% 감소했습니다.

 

#올해 전망은?

 

한편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는 올해 건설경기가 경기둔화 영향 등으로 녹록하지 않을 거라 평가하면서 내년에 회복국면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박선구 대한건설정책 연구원 경제금융연구실 연구위원은 경기둔화 영향으로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감축, 비주거용 건물투자 부진에 따른 토목투자 감소로 건설경기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건설경기는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금융환경이 개선되는 2024년부터 회복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도 ”올해부터 적자기업이 증가해 개별 건설사들의 위기가 본격화될것으로 보이며, 높은 수준의 금리는 이 속도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건설경기는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금융환경이 개선되는 2024년 이후에나 회복국면에 진입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