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2년 5개월 만에 해제된 대중교통 마스크…대다수 여전히 착용

▷대중교통 마스크 의무 해제에도 대다수 시민 마스크 착용
▷마스크 착용 원인에는 주변 눈치, 건강 등 다양한 요인 작용

입력 : 2023.03.20 16:09 수정 : 2023.03.20 16:18
 


(출처=위즈경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오늘(20)부터 버스, 지하철, 택시 등 대중교통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됐지만, 지하철 플랫폼에서는 평소와 다름없는 풍경이 연출됐습니다.

 

202010월 이후 무려 25개월 만에 자유롭게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게 됐음에도, 이날 지하철 2호선과 9호선 등 대다수가 마스크를 착용한 채 지하철을 이용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마스크를 착용을 계속하는 이유는 다양했습니다. 대다수의 시민들은 주변의 시선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한다고 설명했습니다. 30세 회사원 A씨는 평소 외출할 때는 마스크를 벗고 다니는 데 대중교통에서만 착용하라고 하니 불편했다면서 대중교통 마스크 해제되기만을 기다렸는데 막상 해제되니 이제는 사람들이 쓰고 있어서 벗기가 쉽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29B씨도 마스크를 이제 마음대로 써도 된다는 생각에 맨얼굴로 지하철을 탔는데, 마스크를 안 쓴 사람이 없어서 허겁지겁 마스크를 찾아서 꼈다고 말했습니다.

 

일부 시민 중에는 건강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1C씨는 최근 코로나가 많이 줄었다고 하지만 한번 걸렸다가 크게 아팠던 경험이 있어서 또 걸리고 싶지 않아 마스크를 쓰고 다닌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평소 같으면 겨울 감기 때문에 한번씩 고생을 하는데 마스크를 쓰고부터 괜찮아졌다면서 너무 더운 날씨만 아니라면 마스크를 쓰고 다닐 거 같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20일부터 대중교통뿐 아니라 마트역사 등 대형시설 내에 있는 개방형 약국까지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됩니다.

 

다만 일반 약국은 의료기관 이용 후 바로 찾는 경우가 많아 코로나 19 확진자나 의심 증상자, 고위험군이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들어 착용 의무를 유지했습니다. 또한 요양병원∙장기요양기관, 정신건강증진시설, 입소형 장애인복지시설 등 감염 취약 시설에서도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됩니다.

 

방역당국도 마스크 착용이 여전히 코로나 19 등 호흡기 감염병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보호 수단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출퇴근 시간대 등 혼잡한 상황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 개방형 약국 종사자 등은 (의무화 해제) 이후에도 마스크를 자율적으로 착용해 주기를 권고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