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위고라는 첨예한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참여자들의 토론 내용은 기사에 반영됩니다. 건전한 토론을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위고라] '제조물 책임법 개정안’ 도입, 찬성VS반대

찬성 66.67%

중립 13.73%

반대 19.61%

토론기간 : 2023.03.08 ~ 2023.04.04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지난해 강원도 강릉에서 발생한 급발진 의심 사고를 계기로 제조물 책임법 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현행법상 급발진 사고가 발생하면 제조사를 상대로 비전문가인 차량 소유자가 결함을 증명해야 하기에 급발진으로 인정된 사례는 단 한 건도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강릉 급발진 의심 사고는 할머니가 운전하던 SUV 차량의 급발진으로 추정되는 사고로 인해 12살 손자가 사망한 사고입니다. 

 

유가족은 지난달 국회 국민동의청원에 급발진 의심 사고 발생 시 결함 원인 입증책임 전환 청원을 올렸고 6일만에 5만명의 동의를 얻기도 했습니다.

 

해당 사고로 급발진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이 커지자 정치권에서도 실체를 규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급발진 사고 피해입증 책임이 전적으로 소비자에게 있다. 제도적인 미비가 원인이다청원 내용을 토대로 피해자가 입증하는 책임을 완화하는 제도 개선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도 자신의 SNS를 통해 이번 비극의 실체를 규명하고 반복되지 않도록 관련법 개정을 비롯한 제도적 개선에 힘을 모으겠다고 뜻을 같이 했습니다. 

 

지난 6일 국민의힘 정우택 국회부의장은 자동차 급발진 의심사고 시 결함원인에 대한 입증책임을 제조사가 부담토록 하는 내용의 제조물 책임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바 있습니다.

 

전문가들도 급발진 사고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입장입니다.

 

지난 24일 서울특별시의회 교통위원회에서 자동차 급발진 사고 원인 및 해결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가 개최됐습니다.

 

토론회에서 김필수 대림대학교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한국은 운전자가 결함을 밝혀야 하지만 미국은 제작사가 밝혀야 한다미국의 경우 징벌적 손해배상죄, 집단소송제 등 소비자를 위한 법제가 마련돼 있다는 것이 우리와의 차이라고 꼬집었습니다이어 최근 내연기관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등 친환경차에서도 급발진 의심 사고들이 발생하고 있다원인을 밝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법적 장치 마련 등 실질적인 대책이 빠르게 준비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반면 정확한 사고의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상황에서 급발진이라고 예단하는 것은 사회적인 불안감만 조성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김용원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안전환경 본부장은 급발진 의심 사고의 원인은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섣부르게 급발진을 전제하는 것은 사람들에게 불안감만 조성할 뿐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여러분은 급발진 추정 사고에 대한 책임을 제조사에게 묻는 법 개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찬성: 현행법 개정을 통해 급발진 추정 사고의 책임은 제조사가 물어야 한다

 

반대: 급발진 논란 확산 보다 정확한 원인 규명이 먼저다


※ [위고라] 토론결과는 관련기관 및 단체에 배포될 예정입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