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스마트해질수록 늘어나는 급발진 위험…예방법은?

▷자동차 전문가, “급발진은 전자 센서 도입 때문”
▷시동 후 1~2분 워밍업, 전자 센서 관리 등으로 급발진 예방 가능

입력 : 2023.03.14 13:33 수정 : 2023.03.14 14:13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지난해 12월 발생한 강릉 급발진 의심 사고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한 가운데 급발진 예방 및 대처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난 2JTBC한문철의 블랙박스 리뷰(한블리)에 출연한 박병일 자동차 명장은 급발진 추정 사례가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올해로 자동차 역사가 137년 정도됐는데, 기계로만 만들어졌던 100년간은 급발진 문제가 없었다면서 자동차의 센서와 컴퓨터가 장착되면서 급발진 문제가 생겼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박 명장은 급발진을 예방하기 위해선 시동을 걸 때 2번 나눠서 걸고, 시동을 걸고 1~2분 정도 대기했다가 출발하라고 당부했습니다. 더불어 전자 센서는 습도에 취약해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주일에 한 번씩 히터로 건조시켜주는 것이 좋다고도 말했습니다.

 

만약 운행 시 급발진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브레이크를 한 번 힘있게 밟고, 도로 측면 턱이 있는 블록에 타이어를 마찰시켜 차를 세워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브레이크가 먹통이라면 전자식 사이드브레이크를 계속 올리고 있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국회에서 급발진 의심 사고 발생 시 자동차 제조사에게 입증 책임을 지도록 하는 제조물 책임법 개정안이 발의됐습니다.

 

지난 6일 국민의힘 정우택 국회부의장은 자동차 급발진 의심사고 시 결함원인에 대한 입증책임을 제조사가 부담토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제조물 책임법 개정안을 발의했다고 밝혔습니다.

 

현행법에 따르면 제조물로 인한 피해를 입었을 경우, 피해자가 제조물에 의한 피해사실을 입증해야 제조사에게 책임을 물 수 있도록 규정돼 있습니다. 하지만 비전문가인 소비자가 제조사의 책임을 입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정 부의장은 고도의 기술력으로 제조한 자동차의 결함을 비전문가인 일반 소비자가 입증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데도 입증책임을 소비자에게 지우는 것은 무리가 있다개정을 통해 입증책임을 현실에 맞도록 재분배해 국민을 급발진 피해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