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위고라는 첨예한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참여자들의 토론 내용은 기사에 반영됩니다. 건전한 토론을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위고라] 청년탈모 지원 찬반논란

찬성 27.45%

중립 11.76%

반대 60.78%

토론기간 : 2023.03.08 ~ 2023.03.22

 

[위고라] 청년탈모 지원 찬반논란 출처=위즈경제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중장년층의 고민이라고 여겨졌던 탈모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늘고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탈모 질환 진료 인구는 202년 기준 233194명으로 2016년보다 9.9% 증가했습니다. 특히 탈모 질환자 10명 중 6명을 20~40대 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탈모 치료제 등 연간 진료비도 계속 늘어나 30대는 161990, 20대는 14 5265원 정도는 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지자체들이 청년들의 탈모 치료비 지원을 위해 나서고 있습니다. 서울 성동구는 청년 탈모 치료비를 지원하는 조례를 만들어 이달부터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1인당 약제비 명목으로 연간 20만 원씩을 지원합니다. 충남 보령시는 40대 이하 시민에게 1인당 최대 200만 원(생애 1)의 탈모 치료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의회와 대구시에서는 최근 탈모 지원 조례안을 놓고 논의가 한창입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형평성이 맞지 않다며 반대하는 의견을 내놓고 있습니다.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영철 국민의힘 의원은 "40~50대 탈모환자가 20~30대보다 더 높은데 청년만 지원해주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 또 의료보험 비급여대상에 여드름, 치아교성, 라식, 스트레스성 질환도 있는데 탈모만 지원해주는 것도 옳지 않다. 연령, 의료 측면에서 이 조례안이 형평성에 맞는지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탈모로 청년들의 자존감이 크게 떨어진다는 점을 들어 반박했습니다. 임만균 더불어민주당 시의원은청년들은 취업·결혼 문제 때문에 더 예민하다탈모가 있으면 (청년들의) 자존감이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고 했습니다. 서준오 더불어민주당 시의원 역시청년 탈모가 심해지면 자존감이 하락하고 대인기피증과 우울증도 생긴다고 말했습니다.

 

청년층 탈모지원 논란을 두고 갑론을박이 한창인 가운데, 여러분의 생각은 무엇인가요?

 

찬성 : 청년들의 자존감을 고려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

반대 :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


※ [위고라] 토론결과는 관련기관 및 단체에 배포될 예정입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