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라] 청년탈모 지원 찬반논란
![[위고라] 청년탈모 지원 찬반논란](/upload/e59ad5c6bb02459a99464dd98faddb5c.jpg)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중장년층의 고민이라고 여겨졌던 탈모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늘고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탈모 질환 진료 인구는 202년 기준 23만 3194명으로 2016년보다 9.9% 증가했습니다. 특히 탈모 질환자 10명 중 6명을 20~40대 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탈모 치료제 등 연간 진료비도 계속 늘어나 30대는 16만 1990원, 20대는 14만 5265원 정도는 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지자체들이 청년들의 탈모 치료비 지원을 위해 나서고 있습니다. 서울
성동구는 청년 탈모 치료비를 지원하는 조례를 만들어 이달부터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1인당 약제비 명목으로
연간 20만 원씩을 지원합니다. 충남 보령시는 40대 이하 시민에게 1인당 최대 200만
원(생애 1회)의
탈모 치료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의회와 대구시에서는 최근 탈모 지원 조례안을 놓고 논의가 한창입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형평성이 맞지 않다며 반대하는 의견을 내놓고 있습니다.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영철 국민의힘 의원은 "40~50대
탈모환자가 20~30대보다 더 높은데 청년만 지원해주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 또 의료보험 비급여대상에 여드름, 치아교성, 라식, 스트레스성 질환도 있는데 탈모만 지원해주는 것도 옳지 않다. 연령, 의료 측면에서 이 조례안이 형평성에 맞는지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탈모로 청년들의 자존감이 크게 떨어진다는 점을 들어 반박했습니다. 임만균 더불어민주당 시의원은 “청년들은 취업·결혼 문제 때문에 더 예민하다”며
“탈모가 있으면 (청년들의) 자존감이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고 했습니다. 서준오 더불어민주당 시의원 역시 “청년 탈모가 심해지면 자존감이 하락하고 대인기피증과 우울증도 생긴다”고
말했습니다.
청년층 탈모지원 논란을 두고 갑론을박이 한창인 가운데, 여러분의 생각은
무엇인가요?
찬성 : 청년들의 자존감을 고려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
반대 :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
※ [위고라] 토론결과는 관련기관 및 단체에 배포될 예정입니다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