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라] 청년탈모 지원 찬반논란
![[위고라] 청년탈모 지원 찬반논란](/upload/e59ad5c6bb02459a99464dd98faddb5c.jpg)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중장년층의 고민이라고 여겨졌던 탈모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늘고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탈모 질환 진료 인구는 202년 기준 23만 3194명으로 2016년보다 9.9% 증가했습니다. 특히 탈모 질환자 10명 중 6명을 20~40대 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탈모 치료제 등 연간 진료비도 계속 늘어나 30대는 16만 1990원, 20대는 14만 5265원 정도는 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지자체들이 청년들의 탈모 치료비 지원을 위해 나서고 있습니다. 서울
성동구는 청년 탈모 치료비를 지원하는 조례를 만들어 이달부터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1인당 약제비 명목으로
연간 20만 원씩을 지원합니다. 충남 보령시는 40대 이하 시민에게 1인당 최대 200만
원(생애 1회)의
탈모 치료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의회와 대구시에서는 최근 탈모 지원 조례안을 놓고 논의가 한창입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형평성이 맞지 않다며 반대하는 의견을 내놓고 있습니다.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영철 국민의힘 의원은 "40~50대
탈모환자가 20~30대보다 더 높은데 청년만 지원해주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 또 의료보험 비급여대상에 여드름, 치아교성, 라식, 스트레스성 질환도 있는데 탈모만 지원해주는 것도 옳지 않다. 연령, 의료 측면에서 이 조례안이 형평성에 맞는지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탈모로 청년들의 자존감이 크게 떨어진다는 점을 들어 반박했습니다. 임만균 더불어민주당 시의원은 “청년들은 취업·결혼 문제 때문에 더 예민하다”며
“탈모가 있으면 (청년들의) 자존감이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고 했습니다. 서준오 더불어민주당 시의원 역시 “청년 탈모가 심해지면 자존감이 하락하고 대인기피증과 우울증도 생긴다”고
말했습니다.
청년층 탈모지원 논란을 두고 갑론을박이 한창인 가운데, 여러분의 생각은
무엇인가요?
찬성 : 청년들의 자존감을 고려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
반대 :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
※ [위고라] 토론결과는 관련기관 및 단체에 배포될 예정입니다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