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라]빅토르안 韓 코치로?...실력이 우선 VS 국민 눈높이 맞춰야
출처=위즈경제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러시아로 귀화한 빅토르안(37∙안현수)가 경기 성남시청 직장운동부 빙상팀 코치직에 지원하면서 찬반 의견이 대립하고 있습니다. 한쪽에서는 국민 눈높이에 맞는 코치를 뽑아야 한다며 국내복귀를 반대하고 있고 한쪽에서는 여론몰이 대신 실력으로 결정해야한다고 맞서고 있습니다.
지난달 19일 성남시청은 빙상팀 코치 1명을 뽑는 공고를 냈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에 빅토르안과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중국 대표팀 사령탑을 맡았던 김선태 전 감독 등 7명이
지원했습니다. 성남시는 오는 31일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러시아로 귀화한 빅토르 안이 12년만에 한국으로 복귀를 한다는 소식에
전해지자 연맹은 다음날 성명서를 통해 “빅토르안은 한국 국적을 버리고 귀화할 당시 거짓말로 위기를 모면하려
했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습니다.
과거 빅토르안은 한국 국적을 버리고 러시아로 귀화했을 당시 매국 논란이 일자 이중국적이 가능할 줄 알았다고 해명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그가 귀화 직전 연금을 일시불로 받아간 사실이 드러나면서 ‘국적 상실’을 이미 알고 있었다는 의혹이 일었습니다.
그러면서 연맹은 코치면접에 빅토르 안을 참여시킨 성남시청을 향해 "성남시의
쇼트트랙 코치 공개 채용 과정을 보면 우려되는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성남시가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감독 선임을 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신상진 성남시장은 빅토르안의 코치직 지원에 대해 “채용에 관한
공정성을 해하는 여론몰이를 말아 달라”고 당부하면서 “전국
빙상의 매카인 시청팀을 더 잘 되도록 할 수 있는 실력과 함께 선수와 화합하고 소통하는 리더십도 중요한 잣대로 삼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실상 코치직을 뽑는 데 실력이 우선 돼야 한다고
주장한 겁니다.
이에 대해 누리꾼들 사이에서도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긍적적
반응으로는 “능력은 확실히 검증된 사람 아닌가” “다시 기회를
주고 싶다” 등이 있고 부정은 “나라를 버리고 귀한한 사람을
왜 받나” “국내 기술 중국, 러시아에 다 팔고 난 뒤 한국으로
돌아온 사람을 왜 받아줘야 하냐” “기회주의자다” 등의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12년만에 한국으로 돌아오려는 빅토르안을 두고 갑론을박에 한창인 가운데, 여러분의 의견은 어떤가요?
찬성 : 여론몰이 대신 실력을 잣대로 삼아야 한다.
반대 :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사람을 뽑아야 한다.
중립 : 기타 의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