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스케치] 딥페이크 가짜뉴스의 문제를 논하다...과기정통부, 제3회 디지털 심화쟁점 콜로키움 개최
기획·연재 > 현장스케치 | 이정원 기자 | 2024.11.20
갈수록 지능화되는 '딥페이크 가짜뉴스' 문제 공론화 위한 논의의 장 열려
▷과기정통부, '딥페이크와 가짜뉴스' 주제로 제3회 디지털 심화쟁점 콜로키움 개최 ▷이독실 과학평론가, 표창원 표창원범죄과학연구소장 등이 참석해 딥페이크 가짜뉴스 문제에 대한 의견 나눠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이정원 기자 | 2024.11.20
[사건後] ‘미성년자 11명 성폭행’ 김근식이 돌아온다
▷2000년 출소 후 16일만에 재범…징역 15년 선고 ▷반복범행∙소아성애적 성향 등 재범 가능성 높아 ▷정부의 실효성 있는 대책마련으로 재범 막아야
기획·연재 > 기획특집 | 류으뜸 기자 | 2022.10.06
윤 대통령 풍자 포스터 논란...과거엔 어땠나?
▷이하 작가, 삼각지역 일대에 풍자 포스터 붙여 ▷과거 대통령들도 풍자 대상...정치권·누리꾼 갑론을박 ▷미국은 '관대', 러시아는 정치풍자 '부활중'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류으뜸 기자 | 2022.09.15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잘모르겠어요
5태릉~ 참 좋은 곳이죠 ㅎㅎ 시간되면 아이들이랑 같이 가봐야겠어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6정말 교통편이 힘들긴 하더라구요 ㅠㅠ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7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