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윤 대통령 풍자 포스터 논란...과거엔 어땠나?

▷이하 작가, 삼각지역 일대에 풍자 포스터 붙여
▷과거 대통령들도 풍자 대상...정치권·누리꾼 갑론을박
▷미국은 '관대', 러시아는 정치풍자 '부활중'

입력 : 2022.09.15 14:32 수정 : 2022.09.15 17:04
윤 대통령 풍자 포스터 논란...과거엔 어땠나? 출처=이하 작가 페이스북
 

최근 용산 삼각지역에 부착됐던 윤 대통령 풍자 포스터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를 두고 표현의 자유라고 주장하는 측과 표현의 자유를 넘어선 모욕죄에 가깝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포스터에는 윤 대통령이 곤룡포를 입은 채 앞섬을 풀고 신체 일부 부위가 김건희 여사의 얼굴로 가려져 있었습니다.

 

이 포스터는 풍자화가로 알려진 이하(활동명) 작가가 13일 새벽 삼각지역 일대에 10장을 붙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작가는, 2012년엔 전두환 씨를 풍자하는 포스터를 연희동 주택가 담벼락에 붙였다 벌금 10만 원의 선고유예를 받기도 했습니다. 현재 이 포스터는 제거됐고 경찰은 내사에 착수했습니다.

 

#과거 사례는?

 

과거에도 대통령에 대한 풍자를 두고 갑론을박이 있었습니다. 문재인 정부 시절 국민의 힘의 전신인 자유한국당이 자당의 공식 유트브인 '오른소리'에 벌거벗은 문재인 대통령과 수갑 찬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모습이 담긴 에니매이션을 올렸습니다.

 

자유한국당은 영상에서 문 대통령을 욕심에 눈이 멀어 망신을 주려는 것도 몰랐던 임금님에 비유하면서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명과 소득 주도 성장, 대북 정책 등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당시 누리꾼들은 "국가원수 모독이다" "사법처리 해야 한다"는 주장과 "정치인에 대한 풍자에 대해서는 표현의 자유가 지켜져야 한다"는 견해로 갈렸습니다.

 

박근혜 정부 시절에도 비슷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당시 표창원 의원이 '시국 비판 풍자회 전시회'를 열어 프랑스 화가 에두아르 마네의 '올랭피아'를 패러디한 '더러운 잠'이라는 작품을 내놓았습니다. 해당 그림에는 나체로 묘사된 박근혜 대통령과 고() 박정희 전 대통령, 사드 미사일, 주사기 다발을 든 최순실(개명 후 최서연) 등이 그려져 있었습니다.

 

당시 여당은 이에 대해 "풍자를 가장한 인격모독이자 질 낮은 성희롱이 난무"한다며 비판했습니다. 반면 표 의원은 "표현의 자유 영역에 정치권력이 공격을 한다는 것은 예술에 대한 적절한 태도가 아니다"고 주장했습니다.

 

#대통령 풍자...해외는?

 

 

출처=영국 가디언지
 

미국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엔젤레스에는 오바마 대통령을 영화 배트맨에 나오는 악당 '조커'로 묘사한 포스터가 나붙어 논란이 일었습니다. 흑인 대통령이었던 오바마의 얼굴을 하얀색으로 분장하고 하단에 '사회주의'라는 단어를 표기했습니다.

 

조지아주 애틀란타 지역에선 트럼프 대통령을 히틀러로 묘사한 풍자 포스터가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포스터는 나치 깃발 한 가운데 백달러짜리 나비넥타이를 메고 히틀러와 같은 콧수염을 기른 트럼프 대통령의 얼굴이 그려져 있었습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풍자 포스터로 인한 논란은 아직까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다만 미국 인기 예능 프로그램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NL)'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오미크론 변이 대응책을 제대로 마련하지 못해 스파이더맨을 탓하는 무능한 대통령으로 묘사됐습니다. 이처럼 미국에서 대통령은 가장 흔한 풍자 대상이 됩니다.

 

러시아는 2000년 이후 푸틴 대통령이 장기 집권하면서 풍자 개그나 그림을 찾아보기 어려워졌습니다. 푸틴이 정치풍자에 강경하게 대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인터넷과 SNS가 발달하면서 정치풍자가 다시 부활하고 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