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사건後] ‘미성년자 11명 성폭행’ 김근식이 돌아온다

▷2000년 출소 후 16일만에 재범…징역 15년 선고
▷반복범행∙소아성애적 성향 등 재범 가능성 높아
▷정부의 실효성 있는 대책마련으로 재범 막아야

입력 : 2022.10.06 17:00 수정 : 2024.06.19 11:26
[사건後] ‘미성년자 11명 성폭행’ 김근식이 돌아온다 출처=클립아트코리아
 

 

2006년 인천, 오전 8시가 안 된 시각에 평소처럼 등교하던 아이 앞에 낯선 아저씨가 말을 걸었습니다. “아저씨가 이거 다 들기 어려운데 네가 좀 와서 들어 줄래?” 도움을 요청한 하얀 차 주인을 아이는 의심하지 못했습니다.

 

그렇게 아이는 남을 돕는 다는 뿌듯한 마음으로 아저씨를 따라갔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연쇄 성폭행의 시작이 될 줄 아무도 몰랐습니다. 성인이 된 피해자는 아직도 그날의 기억을 잊지 못한 채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범인은 2006년 출소 16일만에 또 다시 미성년을 성폭행한 수원 발발이김근식입니다.

 

#김근식은 누구인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김근식은 2006년 미성년자 11명을 성폭행한 혐의로 징역 15년을 받은 범죄자입니다. 앞서 김씨는 2000년에도 미성년을 성폭행한 혐의로 징역 5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아 복역했습니다. 그러나 출소 16일 만에 또 다시 미성년자를 잇따라 성폭행했습니다. 

 

범행 이후 수사망을 피해 인천과 서울 등을 떠돌아다니며 동생여권으로 필리핀까지 도주했다가 귀국 후 여관을 전전하다가 경찰의 공개수배 다음날 자수했습니다. 더 이상 도주는 힘들다는 판단 때문이었습니다.

 

2006111심 재판부는 범행을 자백하고 수사에 협조한다는 이유를 들어 징역 15년형을 선고했습니다. 하지만 김근식은 판결이 무겁다며 불복하고 항소했으나 기각됐고 형이 확정됐습니다. 김근식은 지난해 9월 출소 예정이었으나 2013년과 2014년 대전교도소 복역 중 재소자 폭행으로 징역 8개월이 추가돼 1년 간의 형기가 늘어났습니다.

 

김근식의 범행 수법은 악랄했습니다. “무거운 짐을 드는데 도와 달라등의 말로 어린 학생들을 유인해 흰색 승합차에 태운 뒤 인적이 드문 곳으로 이동하는 범행수법을 사용했습니다. 타인을 도우려는 피해자들의 착한 마음씨를 악용한 것입니다.

 

이후 피해 학생들이 조금이라도 저항을 하면 마구 때리고 무자비하게 폭력을 행사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당시 피해자인 서문주(가명)씨는 SBS 시사교양프로그램 그것이 알고 싶다에 나와 아저씨(김근식)가 거기서 차 문을 닫고 학교는 안 보내주고 때리면서 말 들어라는 협박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재범 가능성은?

 

전문가들은 김근식의 재범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범행이 10회 넘게 반복된 점으로 미뤄볼 때 성범죄 중에서도 재범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고위험군에 속한다는 분석입니다.

 

프로파일러 표창원은 김근식은 무조건 재범한다며 우려를 드러냈습니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출소한 지 보름 정도 후 범죄를 저질렀고, 그전에도 전과가 많았다사회에서 굉장히 부적응적이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는 점에서 출소한 이후가 걱정된다고 말했습니다.

 

도착적이고 소아성애적 경향을 지니고 있다는 점도 재범 위험률이 높다고 보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법무부 관계자는 김근식이 2000년 강간치상죄로 5년 복역후 16일 만에 미성년자와 아동 11명을 대상으로 연쇄 성범죄를 저지를 정도로 전형적이 소아성기호증을 보이고 있다면서 재소자 폭행으로 징역 8개월 추가 복역 이후에도 누차 동료를 때리는 등 분노를 제어하지 못하는 반사회적 정서를 지닌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조두순 못지 않은 또 한 명의 악질 아동 성범죄자 김근식. 그가 다음달 사회로 돌아온다는 소식에 지역 주민들은 벌써부터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정부가 재범 우려가 큰 성범죄자용 특수 전자발찌를 준비하는 등 조두순 급으로 김근식을 관리한다고 했지만 지역 주민들은 여전히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안타까운 사건이 다시 재발하지 않도록 정부의 실효성 있는 대책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