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부채 악순환, 구조를 바꿔야 끊어진다' 토론회 개최
▷12일 국회의원회관서 토론회 열어 ▷청년 부채 관련 포괄적·실효적 정책 논의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5.08.13
최유리 이사장 "빚은 청년 개인 문제가 아닌 사회문제"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서 주제발표 진행 ▷대구 청년 경제상황 악화...소득 줄고 생활비 올라 ▷청년현실에 맞는 금융정책 등 함께 고민해야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4.11.26
청년들이 뽑은 지난해 가장 중요한 청년이슈는?
▷응답자 25%, '사회진출 지연 청년 증가' 꼽아 ▷"체감 효과 미미...전달체계 구축 시급한 상황"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4.02.20
2030세대 130조 빚더미..."청년부채 사전 예방해야"
▷지난해6월부터 올해7월까지 133조8093억원 ▷영끌로 집을 사는데 가장 많은 대출 받아 ▷"재무건강바우처사업 필요...교용 및 주택 문제도 함께 논의"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3.10.11
금리인상이 청년과 건설경기에 미친 영향은?
▷한국 기준금리 2년만에 3%p 인상…”유례없는 인상 속도” ▷KDI 보고서, 1% 금리 상승 시 20대 30만원 가까이 소비 줄여 ▷주택가격 및 주택착공률 줄어…”주택매매시장 등 안정적 관리 필요”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3.05.03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