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10

4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편성한 2026년 예산안  및 기금운영계획안에 대해 시정연설을 진행했다.

李대통령, 인공지능시대 대전환 맞아 728조 예산편성

▷인공지능 분야 10조 1,000억 원…올해의 3배 규모 ▷”AI 핵심 부품 GPU 3만 5,000장 조기 확보하겠다”

사회·정치 > 정치    |   전희수 기자    |   2025.11.04

(사진=휴온스그룹)

휴온스랩, 美 보스턴서 'HLB3-002' 제형 변경기술 소개

▷휴온스랩,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 2025' 참석...하이디퓨즈 플랫폼 발표 ▷"HLB3-002 기반기술 발표 통해 기술이전 및 글로벌 제약사와 협업 가능성 재차 확인"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5.06.17

(사진=휴온스그룹)

휴온스USA, 북미 의약품 전시회 ‘CPHI 아메리카’ 참가

▷휴온스그룹,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CPHI 아메리카’ 참가 ▷”향후 글로벌 협력관계 구축 및 수출 확대 적극 추진 예정”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5.05.26

23일 개최된 셀리버리 임시 주주총회(사진=위즈경제)

셀리버리, 임시 주주총회 개최…3건 의안 가결

▷셀리버리 23일 임시 주주총회 개최 ▷임시 주총서 3건 의안 원안대로 모두 가결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5.04.23

(사진=클립아트코리아)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항체의약품 개발 위한 혁신신약연구원 개원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부산에 혁신신약연구원 개원 ▷산업부, “외국인 기업에 친환적인 정주여건 조성 노력 지속할 것”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11.13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의정갈등에 묻힌 '의사과학자'..."의대정원 확보 시급"

▷의사과학자, 의료계·바이오산업 화두로 떠올라 ▷양성 성적 초라해...의대졸업생 중 1% 미만에 그쳐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4.05.20

유한양행 공장. 출처=유한양행

증권업계, "유한양행 1분기 아쉽지만 하반기 기대"

▷1분기 영업이익 5억8000만원 기록

경제 > 증권    |   류으뜸 기자    |   2024.05.02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외신]기침감기약 등 의약품 수급 불안정으로 비상 걸린 일본…원인은?

▷일본 정부, 의약품 수급 불안정으로 24개 제약사에 증산 등 대응 촉구 ▷다케미 게이조 장관, “증산을 비롯한 모든 방법으로 대응해주길 당부한다”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11.08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종근당, 대규모 기술수출 소식에…증권가 목표가 일제히 상향

▷종근당, 글로벌 제약기업 노바티스와 1조7000억 규모 기술이전 체결 ▷키움∙신영증권, 목표주가 15만원으로 상향조정

경제 > 증권    |   이정원 기자    |   2023.11.07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안구건조증 환자 매년 느는데…인공눈물 가격 인상 예고

▷내년 인공눈물 가격 최대 10배 인상 전망 ▷전자기기 노출 증가, 미세먼지 등의 요인으로 안구건조증 환자 증가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3.10.18

  • 1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