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층토론 #4] 갈 곳 없는 장애영유아...이대로 괜찮나?
▷집 근처 특수교육기관 부족...제대로된 교육 못 받아 ▷유아특수교사 임용선발 확대 및 특수학급 증설 고려 촉구 ▷교사대 아동 비율 줄이고 처우개선도 함께 논의되어야
기획·연재 > 기획특집 | 류으뜸 기자 | 2023.12.12

[심층토론 #3] 우리의 아이들은 안전합니까?...보다 안전한 교육 환경을 논하다
▷CCTV 및 통학환경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논의
기획·연재 > 기획특집 | 류으뜸 기자 | 2023.12.12

[심층토론 #2] 에듀테크 열풍을 바라보는 영유아 교육 전문가들의 시선은?
▷위즈경제, '진단! 영유아보육 및 유아교육의 현주소는?' 토론회 개최 ▷이정우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부회장 등 영유아보육 및 유아교육 전문가 6명 참여
기획·연재 > 기획특집 | 김영진 기자 | 2023.12.11

[심층토론 #1] 무고성 아동학대신고에 신음하는 교사들…현실적 대안을 논한다
▷ 위즈경제, '진단! 영유아보육 및 유아교육의 현주소는?' 토론회 개최 ▷ 박다솜 전국국공립유치원교사노동조합 위원장 등 영유아보육 및 유아교육 전문가 6명 참여 ▷ 법적인 처벌 등 현실적인 대안 마련 요구
기획·연재 > 기획특집 | 김영진 기자 | 2023.12.11

유보통합 3차 릴레이 토론회 개최.."유보통합, 교육과정 살아있는 유아학교에서 시작하다"-①
▷24일 오후 3시 국회의원회관 2층 제2소회의실에서 열려 ▷주요인사, 정부의 유보통합 방향성 지적...현장 목소리 경청해야 ▷유보통합 관리일원화 체계 등 유치원과 보육교사 간 의견 엇갈려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3.08.25

[인터뷰] 박다솜 위원장 "8시 등원, 실제 현장 고려하지 못해...재검토해야"
▷지난 13일 서울교사노동조합 사무실에서 인터뷰 ▷"현재도 8시부터 이용 가능한 돌봄 서비스 있어" ▷"양육자에게 큰 부담 안기고 유아 발달에도 부정적 영향 미쳐"
인터뷰 > 인터뷰 | 류으뜸 기자 | 2023.06.16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