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국정감사] 김병주 MBK 회장, 홈플러스 사태 질의에 모르쇠...여야 일제히 질타
▷김병주 회장 대부분 사안에 "잘 모르는 내용이다"라 밝혀 ▷여야 강도높은 질타 이어져...공정거래위, 강력한 제재 방침
사회·정치 > 정치 | 류으뜸 기자 | 2025.10.15

또 다시 뱅크런?... 美 상업용부동산 대출에 켜진 빨간불
▷ 부진 겪는 美 상업용부동산 시장... 은행권 대출부실 우려 ▷ 중소형 은행이 차지하는 비중 커, 대출 시장의 70% 차지 ▷ 한국은행, "금융 여건 상, 상업용부동산 대출부실 감당할 여력은 있어"
종합 > 국제 | 김영진 기자 | 2023.07.05

최저임금 1만원 인상 어려운 이유는?
▷전경련, 최저임금 1만원 인상시 최대 6만9000개 일자리 감소 주장 ▷경총, "최저임금, 현 최저임금 감당하지 못하는 업종 기준으로 결정돼야" ▷민주노총, "살인 수준 물가 폭등...최저임금 만으로 생존 어려워"
경제 > 경제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3.06.26

정부, "우리 천일염은 언제나 안전하다"
▷ 쉽게 잦아들지 않는 '천일염' 구매 열기 ▷ 정부, "천일염 품귀 현상은 생산량 문제, 오염수 방류로 인해 천일염 오염되는 일 없어"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김영진 기자 | 2023.06.19

[폴 플러스] 참여자 10명 중 8명, “은행권 과점체제로 피해 입었다”
▷ 은행권, 통신업계의 과점체제가 부당하다고 여기는 참여자 많아 ▷ 통신업계의 '30GB 데이터 제공'도 불만족스러워
POLL > Poll Plus | 김영진 기자 | 2023.03.10

추 부총리 “고용둔화 체감 커… 일자리 예산 70% 상반기 집행 계획”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장관회의 개최 ▷고용둔화 원인으로 기저효과 등 언급 ▷"6대 업종을 선정해 주무부처 책임관 지정"
경제 > 경제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3.03.08

일본 비자 면제 조치에 여행업계∙항공업계 ‘분주’
▷다음달 11일부터 무비자 입국…2년 6개월 만 ▷국내 FSC∙LCC 일본 노선 증편에 한창 ▷여행업계, 관련 상품 재정비 및 출시
산업 > 기업 | 류으뜸 기자 | 2022.09.27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