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비자 면제 조치에 여행업계∙항공업계 ‘분주’
▷다음달 11일부터 무비자 입국…2년 6개월 만
▷국내 FSC∙LCC 일본 노선 증편에 한창
▷여행업계, 관련 상품 재정비 및 출시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일본 하늘길이 열리면서 코로나19로 경영난을 겪고 있던 국내 항공사들이
일본 주요 노선을 증편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가 다음달 11일부터 외국인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일본이 코로나19 방역 조치 일환으로 외국인 관광객 입국에 제한을
둔 지 2년 6개월 만입니다. 이번 발표로 해외여행자의 입국이 간편해질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 다음달 11일부터 인천~나리타(토쿄)∙오사카를 기준 주 7회 운항에서 주 14회로 증편합니다. 부산~나리타는
13일부터 주 주3회에서 주 7회로, 인천~나고야는 11월부터 주 4회에서 주 5회로
증편됩니다.
아시아나항공도 다음달 30일부터 인천~나리타(토쿄) 노선을 주
12회 운항에서 주 14회로 증편합니다. 인천~오사카는 주 7회에서
주 10회로 증편하고, 인천~나고야는 주 2회에서 3회로
증편합니다. 이밖에 김포~하네다 노선도 증편을 계획 중입니다.
중단거리 노선 의존도가 높은 저비용항공사(LCC)도 일본 노선
증편에 한창입니다. 단거리 노선은 유류비 등 윤영비가 낮아 장거리 노선 대비 상대적으로 수익이 좋습니다.
제주항공은 다음달 1일부터 인천~나리타∙오사카∙후쿠오카
노선을 하루 2회로 증편합니다. 같은 달 30일부터는 김포~오사카 및 인천~삿포로
노선을 주 7회 재운항합니다. 인천~도쿄 노선은 매일 3회, 김해~나리타∙오사카∙후쿠오카 노선은 주 7회 운항합니다.
에어서울도 27일 인천~나리타를 시작으로
다음달 30일부터는 인천~오사카∙후쿠오카 노선 운항을 재개합니다.
진에어도 인천~후쿠오카 노선을 주 3회에서
주 7회로, 인천~나리타∙오사카
노선은 주 7회에서 14회로 늘립니다. 티웨이항공 또한 다음 달 14일부터 인천~후쿠오카∙도쿄∙오사카 노선을 주 4회에서 주 7회로 증편할 방침입니다.
#여행업계도 관련 상품 출시에 여념없어
여행업계도 관련 상품을 재정비하고 출시합니다. 참좋은여행은 일본 전 지역 상품을 재정비하고 ▲규슈지역 14개 상품 ▲오사카지역 12개 상품 ▲도쿄∙나고야 지역 12개 상품 ▲홋카이도 지역 7개 상품 등 총 53개 패키지여행 상품을 출시합니다.
하나투어는 지역별 단풍과 명소를 볼 수 있는 ‘기다렸던 일본여행’ 기획전을 내놓습니다. ▲오사카∙교토 3일, ▲규슈3일, ▲도쿄∙하코네∙에고시마 4일, ▲알펜루트∙나고야 4일 상품 등이 대표적입니다. 상품 등급별 할인 혜택과 지역별 특전도 제공합니다.
노랑풍선은 ▲SNS 핫플레이스 '난바온천호텔·고베스타벅스·란덴탑승 3일' ▲큐슈단풍명소유람기
'벳부·유후인·기츠키·후쿠오카 3일' ▲동경인사이드 '동경·오다이바·시부야 3일' 상품을 판매합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비자 면제 조치로 제2의 일본 여행 호황기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일본은 전 지역 어디를 가도 최대 3시간을 넘지 않아 꾸준한 수요가
이어졌기에 인본 여행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