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비자 면제 조치에 여행업계∙항공업계 ‘분주’
▷다음달 11일부터 무비자 입국…2년 6개월 만
▷국내 FSC∙LCC 일본 노선 증편에 한창
▷여행업계, 관련 상품 재정비 및 출시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일본 하늘길이 열리면서 코로나19로 경영난을 겪고 있던 국내 항공사들이
일본 주요 노선을 증편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가 다음달 11일부터 외국인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일본이 코로나19 방역 조치 일환으로 외국인 관광객 입국에 제한을
둔 지 2년 6개월 만입니다. 이번 발표로 해외여행자의 입국이 간편해질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 다음달 11일부터 인천~나리타(토쿄)∙오사카를 기준 주 7회 운항에서 주 14회로 증편합니다. 부산~나리타는
13일부터 주 주3회에서 주 7회로, 인천~나고야는 11월부터 주 4회에서 주 5회로
증편됩니다.
아시아나항공도 다음달 30일부터 인천~나리타(토쿄) 노선을 주
12회 운항에서 주 14회로 증편합니다. 인천~오사카는 주 7회에서
주 10회로 증편하고, 인천~나고야는 주 2회에서 3회로
증편합니다. 이밖에 김포~하네다 노선도 증편을 계획 중입니다.
중단거리 노선 의존도가 높은 저비용항공사(LCC)도 일본 노선
증편에 한창입니다. 단거리 노선은 유류비 등 윤영비가 낮아 장거리 노선 대비 상대적으로 수익이 좋습니다.
제주항공은 다음달 1일부터 인천~나리타∙오사카∙후쿠오카
노선을 하루 2회로 증편합니다. 같은 달 30일부터는 김포~오사카 및 인천~삿포로
노선을 주 7회 재운항합니다. 인천~도쿄 노선은 매일 3회, 김해~나리타∙오사카∙후쿠오카 노선은 주 7회 운항합니다.
에어서울도 27일 인천~나리타를 시작으로
다음달 30일부터는 인천~오사카∙후쿠오카 노선 운항을 재개합니다.
진에어도 인천~후쿠오카 노선을 주 3회에서
주 7회로, 인천~나리타∙오사카
노선은 주 7회에서 14회로 늘립니다. 티웨이항공 또한 다음 달 14일부터 인천~후쿠오카∙도쿄∙오사카 노선을 주 4회에서 주 7회로 증편할 방침입니다.
#여행업계도 관련 상품 출시에 여념없어
여행업계도 관련 상품을 재정비하고 출시합니다. 참좋은여행은 일본 전 지역 상품을 재정비하고 ▲규슈지역 14개 상품 ▲오사카지역 12개 상품 ▲도쿄∙나고야 지역 12개 상품 ▲홋카이도 지역 7개 상품 등 총 53개 패키지여행 상품을 출시합니다.
하나투어는 지역별 단풍과 명소를 볼 수 있는 ‘기다렸던 일본여행’ 기획전을 내놓습니다. ▲오사카∙교토 3일, ▲규슈3일, ▲도쿄∙하코네∙에고시마 4일, ▲알펜루트∙나고야 4일 상품 등이 대표적입니다. 상품 등급별 할인 혜택과 지역별 특전도 제공합니다.
노랑풍선은 ▲SNS 핫플레이스 '난바온천호텔·고베스타벅스·란덴탑승 3일' ▲큐슈단풍명소유람기
'벳부·유후인·기츠키·후쿠오카 3일' ▲동경인사이드 '동경·오다이바·시부야 3일' 상품을 판매합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비자 면제 조치로 제2의 일본 여행 호황기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일본은 전 지역 어디를 가도 최대 3시간을 넘지 않아 꾸준한 수요가
이어졌기에 인본 여행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