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Poll&Talk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첨예한 이슈들에 대해 대국민적 여론을 수렴합니다. 투표 결과와 댓글은 기사에 반영됩니다. 공정한 투표를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폴앤톡] 尹 정부의 ‘소통 점수’, 몇 점인가요?

11명 참여
투표종료 2022.12.07 14:00 ~ 2023.01.04 14:50
[폴앤톡] 尹 정부의 ‘소통 점수’, 몇 점인가요? (출처=대통령실)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국민의 숨소리 하나 놓치지 않고 한치도 국민의 뜻에 벗어나지 않도록 국민의 뜻을 잘 받들겠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는 소통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5월 취임 당시, 120대 국정과제로 "소통하는 대통령, 일 잘하는 정부가 되겠다"며 야심찬 방안을 내놓았습니다.

 

제왕적 대통령잔재를 청산하고 국민과 함께하는 대통령을 실현하겠다는 취지로 대통령실을 청와대에서 용산으로 이전하는 것이 시작이었습니다.

 

대통령실 이전 비용 등 여러가지 논란은 있었지만, 청와대를 국민 모두가 찾을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재구성하겠다는 윤 대통령의 마음은 굳건했습니다.

 

아울러, 윤 정부는 대통령실 직속 민관합동위원회를 운영하는 등 다양한 분야/계층의 참여를 확대해 국민의 실질적 정책 제안/결정 권한을 확대하겠다, 국민과 소통하는 국정운영 기조를 내세웠습니다. 그 일환이 국민제안입니다.

 

이는 문 정부가 운영하고 있던 청와대 국민청원을 폐지하고 지난 623일에 신설된 제도로, 국민의 말씀 한마디 한마디를 놓치지 않고 귀 기울여 좋은 제안을 발굴, 정부 정책에 반영하겠다는 취지를 담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대표적인 소통 정책 중 하나는 도어 스테핑입니다. 대통령이 용산에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의 질문을 받아 답변하는 것인데요.

 

윤 대통령은 취임 100일 연설문에서 언론인 여러분 앞에 자주 서겠다고 약속드렸다. 질문을 받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씀드렸다. 언론과의 소통이 궁극적으로 국민과의 소통이라고 생각한다고 발언할 정도로, 도어 스테핑의 무게감을 높였습니다.

 

하지만 비속어 논란을 보도한 MBC와 정부가 갈등을 빚으면서 시행 194일 만에 도어 스테핑이 중지되었습니다. 도어 스테핑에서 한 MBC 기자가 무엇이 악의적인 보도냐며 대통령에게 물었고, 대통령실 관계자가 예의가 아니다라며 설전을 벌인 게 직접적인 중단 계기였는데요.

 

언론과의 소통 창구인 도어 스테핑을 막은 점에 대해선 여러가지 의견이 있는데요. 보수·진보를 가리지 않고 대다수 언론에선 도어 스테핑을 시급히 부활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국민과의 소통에 초점을 맞춘 윤 정부가 도어스테핑을 중지해 그 취지를 퇴색시킨 것은 아닌가 하는 회의적인 시각이 압도적입니다. 반면, 도어스테핑의 중단이 윤 대통령의 지지율 상승에 오히려 도움을 주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SNS를 통해 “(대통령실의 도어스테핑 중단 결정에 대해) 참 잘한 결정이라고 칭찬한 바 있습니다. 여러모로 논란을 일으키는 도어 스테핑을 계속 진행해봤자 정부 입장에서 득이 될 게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윤 대통령 취임 반년, 국민제안부터 도어스테핑의 중단까지 국민과의 소통을 둘러싼 여러가지 사건들이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은 이러한 윤 정부의 소통점수에 대해 몇 점을 주고 싶은가요?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