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폴 플러스] 과반수 이상, 주 69시간제 개편안 반대

▷반대 78.8%, 찬성 20.2%
▷”정부가 노사 중재자 역할 해야”

입력 : 2023.03.24 13:26 수정 : 2023.04.11 13:45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위즈경제 폴앤톡에서69시간제 개편 논란에 대한 투표를 진행한 결과, 참여자의 과반수(78.8%)가 주 69시간제 개편안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는 39일부터 3 22일까지 약 13일 동안 실시됐고, 110명이 참여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먼저 현행 주 52시간제 근로시간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나요?’라는 질문에 만족하지 않는다매우 만족하지 않는다라는 응답이 각각 33.9%, 19.3%를 차지했습니다. 현행 주 52시간제에 대해 응답자 절반 이상이 만족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내놓은 셈입니다. 반면 만족한다 13.8%, ‘매우만족한다17.4%로 나타났습니다. ‘보통이다 15.6%를 기록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다음으로 69시간 근로시간 개편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라는 질문에 참여자의 79.8%반대한다고 응답했습니다. 반면 찬성한다 20.2%를 차지했습니다. 참여자는 주로 건강권 침해와 실효성 부족 등을 이유로 반대한다는 의견을 내놨습니다. 참여자 A씨는 바쁘다는 핑계로 최대한 노동 시간 끌어다 일 시키는 회사가 노동자에게 장기휴가를 줄만큼 인력이 여유로울 수가 있을까? 인력을 확충하지 않는 이상 회사는 오늘 바쁜 거 끝났다고 며칠 뒤 여유로울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참여자 B씨는 기업이 아닌 일반 서민에게 69시간은 너무 무리한 이야기다. 52시간이어도 야근을 밥 먹듯이 하는데 여기서 더 하면 진짜 죽는다고 토로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마지막으로 69시간 근로제도가 우리나라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나요?’라는 질문에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38.5%를 차지했습니다. ‘그렇지 않다29.4%, ‘매우그렇다4.6%, ‘그렇다13.8%, ‘보통이다13.8%로 나타났습니다. 응답자 대부분이 주 69시간 근로제가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을 거라고 보는 시각이 우세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정부가 내놓은 근로시간 개편안(1주 최대 69시간)의 취지는 일리가 있습니다. 기업 운영에 있어서 업무량이 몰리는 특정 기간에 일을 더하는 대신 여유 기간에 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번 폴앤톡 투표 결과와 함께 대부분 설문 결과에서 건강권 침해와 실효성 등을 이유로 반대입장을 내놓고 있다는 현실을 자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쪽 이야기에 방점을 찍은 정책은 오래갈 수 없습니다. 기업의 애로사항과 노사의 이해를 조정할 수 있는 중재자의 역할을 정부가 제대로 수행할 때 비로소 사회적 합의의 길이 열릴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