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포트] 참여자 과반 이상…”이태원 분향소 철거 해야”
▷ 찬성 53.19%, 반대 36.17%, 중립 10.64%
![[위포트] 참여자 과반 이상…”이태원 분향소 철거 해야”](/upload/7a7c160c832047e4a0dd203aa30e5e5c.png)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첨예한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삼아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위고라’에서, “이태원 참사 분향소 철거 논란”을 주제로 토론을 진행한 결과, ‘유가족의 아픈 마음은 이해하지만 불법 거치물이므로 철거해야 한다”는 의견이 53.19%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서울광장에 있는 이태원 참사 분향소를 철거해선 안 된다”는 의견은 36.17%, 기타의견은 10.64%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위고라는 2월 17일부터 3월 7일까지 진행됐으며, 총 47명의 네티즌이 참여했습니다.
#서울광장은
시민을 위한 공간…법대로 처리해야
이번 위고라에서 ‘찬성’의견(비율 53.19%, 유가족의 아픈 마음은 이해하지만 불법 거치물이므로
철거해야 한다)을 선택한 참여자 대부분은 서울광장은 시민을 위한 공간이기 때문에 법대로 철거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법대로라는 건 서울시가 주장한 ‘서울광장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조례에
따르면 시장은 광장의 무단 점유 등으로 광장 사용 또는 시민의 자유로운 통행에 방해되는 경우 시설물 철거를 명하거나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고, 여기에 따르지 않으면 행정대집행법에 따라 시설물을 철거하고 비용을 징수할 수 있다고 규정돼 있습니다.
또한 형평성 문제를 들어 이태원 참사 분향소를 철거해야 한다는 댓글도 달렸습니다. 실제 참여자 A씨는 “안타까운
사고인 건 맞미나 이럴 때마다 분향소를 차리면 다른 사고로 돌아가신 분들에 대한 기념관도 세워야 되는 게 아니냐”고
지적했습니다. 이외에도 “이태원 참사가 안타깝지만 슬픔을
강요해선 안된다”, “망자들도 이제 그만 보내줘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가족이
죽은 참사…법적 잣대만 들이대선 안 돼
반면
이태원 참사 분향소를 철거하면 안된다는 의견은 36.17%로 집계됐습니다. 대부분은 가족이 안타깝게 죽은 참사인테 단순히 법적인 잣대만 대선 안된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습니다. 실제 참여자 A씨는 “자식을
잃은 슬픔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아픈 것이다. 꽃다운 청춘들의 죽음을 위로하고 달래야지 법적
잣대를 들이대 철거한다는 것이 말이 되냐”고 꼬집었습니다.
이외에도 “(이태원 참사에 대한) 제대로
된 진상규명이 나올 때까지 분향소를 철거하면 안 된다”, “우리가 지금 모른척하고 넘어간다면 다음에는
우리가 공권력의 횡포에 당할 수 있다”, “행정의 부재가 이번 참사의 원인이끼 때문에 서울시는 유가족에게
분향소 설치를 허락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한편 중립의견으로는 서울시와 유족이 원만한 합의를 통해 적절한 대안을 도출하기를 바란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또한 양측이 의견을 조율해 제 3의 장소를 찾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양측 모두 대화를 통해 해법 찾아야
이태원 참사 분향소 철거 논란은 지난달 4일 이태원 참사 100일을 맞아 이태원참사 유가족들이 광장에 기습적으로 분향소를 설치하면서 시작됐습니다. 서울시는 서울광장 분향소는 불법 거치물이므로 자진철거를 요구했습니다. 반면 유가족 측은 서울광장에 분향소를 설치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시 측의 철거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양측은 계속해서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
많은 시민들이 추모할 수 있는 곳에 분향소를 설치하려는 유족들 마음은 이해가 갑니다. 다만 서울광장에 분향소를 설치하는 방안은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시민들의
통행 불편과 더불어 추모행위가 자칫 정치적인 대립으로 얼룩질 위험이 크게 때문입니다. 분향소가 갈등의
공간이 되는 것은 누구도 원치 않는 만큼 서울시와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은 대화를 통해 해법을 찾아야 합니다. 서울시와
유족측 모두 지금이라도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조금씩 양보한다면 적절한 대안을 찾아낼 수 있을 거라 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