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천정부지 물가 잡으려 내놓은 해법은?
▷ 소비자물가 상승률 24년만에 6%
▷ TF를 통해 기존 물가대책 점검 및 집행
▷ 반도체 초격차 지원을 위한 대책 발표 예정

요즘 물가 상승률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천정부지'입니다.
그만큼 물가가 끝을 알 수 없이 계속 오르고 있는데요.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4년만에 6%대를 기록했습니다.
기획재정부가 이런 상황을 헤쳐 나가기 위해 전방위적 정책대응에 나섭니다.
#거시·민생경제 안정적
관리
기재부는 우선 물가 안정 범부처 태스크포스(TF) 등을 통해 발표한 기존 물가 대책을 점검하고 신속히 집행 한다는 계획입니다.
아울러 이달 추석 민생 대책을 마련해 발표하기로 했는데요. 대책에는
추석 성수기 물품 출하 및 가격의 조정 등 물가 관리에 대한 내용이 담길 것으로 보입니다.
경기 불확실성에 대응해 수출과 투자 활력을 높이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수출 증가세를 유지하고자 금융·물류·마케팅
등을 총력 지원하고 규제 완화 방안 일부를 이달 중 발표해 민간 투자 지원에 신속히 나설 계획입니다.
거시경제 리스크 요인에 대해서는 부문별 조기경보시스템(EWS)을 상시
가동하는 등 관계 기관의 합동 대응을 강화해 나갑니다.
#대내외 경제정책 총괄·조정
기재부는 대내외 경제정책을 총괄·조정하는 기능도 강화하겠다고 보고했습니다.
기재부를 중심으로 경제 관련 부처들의 역량을 결집하고 유기적인 협업을 진행해 핵심 경제 이슈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취지입니다.
우선 반도체 '초격차' 지원을
위해 관계 부처와 함께 시설 투자·인력 양성·핵심기술 확보
대책을 조만간 발표할 예정입니다.
조선업계 인력난 애로 해소 등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수출·물류는
기존 계획보다 무역금융을 40조원 확대하고 중소기업 물류비 지원 등을 통해 어려움을 풀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부동산 시장 정상화 대책, 가계·기업
리스크 관리, 공급망 안정화, 첨단산업 분야 인력 양성, 고용·사회안전망 확충 등도 기재부가 중심이 돼 정책을 조정해 나가겠다는
계획입니다.
그 외 규제혁신, 재정혁신, 예선편성 방향, 공공기관 혁신, 세제개편 등에 대한 정책들도 내놓았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