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 줄어들고 있는데... 제주도에 2번째 공항 생길까?
▷ 국토교통부, '제주 제2공항 개발사업 기본계획 보고서' 제주도 발송
▷ 예산 약 6조, 제주도 전체항공수요 절반 수용 가능
▷ 상생이익 얻는다지만... 제주도 찾는 내국인 관광객 수는 감소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정부가 제주 ‘제2공항’ 기본계획을 수립한 뒤 제주도와 본격적인 협의에 들어갔습니다.
국토교통부는 8일 제주특별자치도에 ‘제주 제2공항 개발사업 기본계획(안) 보고서’를 송부하고 이에 대한 제주도의 의견을 요청했습니다. 제주도는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해 낸다는 입장인데요.
국토교통부가 보낸 ‘제주 제2공항 개발사업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제주에 건설되는 제2공항은 2055년, 제주지역의 전체 항공여객수요 4,108만 명 중 1,992만 명의 여객(화물은 12만 톤)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입니다.
즉, 1년에 제주도에 입국하는 사람의 절반가량을 제주 제2공항이 받아들일 수 있는 셈입니다. 필요한 예산은 6조 6,743억 원으로 활주로와 항공기를 44대 세울 수 있는 계류장, 여객터미널, 화물터미널, 주차장 등 건설에 소요됩니다.
정부는 제주 제2공항을 ‘도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공항’으로 추진하겠다며, 공항 운영수익의 일부를 제주도에 환원하는 등의 ‘상생’ 정책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즉, 제주도의 항공편을 늘려 관광객 유치에 용이해지고, 수익도 제주도에서 가져갈 수 있으니 제주 제2공항의 이점을 크게 살린다고 이야기하는 셈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최근 제주도를 찾는 ‘내국인’의 관광성적이 좋지 않다는 점입니다. 화물 운송은 제하더라도, 제주도를 찾는 관광객이 줄어들면 제2공항을 통한 수익성은 기대하기 힘들어 보입니다.
제주관광공사가 발간한 ‘2022년 12월 빅데이터 기반 방문관광객 패턴 월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이후로 제주도를 찾는 내국인 방문객의 수는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 10월까지 내국인 전체 방문객 수는 520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7% 늘었습니다만, 11월부터는 이 추세가 하향세로 바뀌었습니다. 11월의 제주도 내국인 방문객 수는 전년 동기 대비 -9.3%, 12월엔 -8.7%로 나타났는데요. 다만, 제주도를 찾는 외국인 방문객 수는 크게 늘었습니다.
10월의 증감률이 무려 106.8%, 11월엔 102.7%, 12월은 86.5%에 달했습니다.
지난 10월부터 제주도에 대한 내국인의 관광 인기가 식은 이유로는 대표적으로 ‘일본 관광’이 있습니다. 2022년 초반기, 정부가 엔데믹을 선언하면서 방역 조치를 완화했으나, 해외는 달랐습니다.
일본의 경우는 특수한 목적의 비자 없이는 입국할 수 없었는데요. 이 조치가 10월 들어 풀리면서 일본에 대한 관광이 본격 허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여기에 지난해 제주도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이 6%에 달하다 보니, 소비자 입장에선 일본에 비해 제주도를 찾아야 할 이유가 줄어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일본과 제주도의 물가 수준이 비슷한데 굳이 제주도를 갈 필요성이 감소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러한 추세는 제주도의 내수에도 그대로 반영되었습니다. 제주관광공사가
조사한 ‘2022년 제주도 소비 영향 분석’에 따르면, 11월 제주도 내 전체 소비가 2021년 대비 감소 추세에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내국인들이 제주도보단 해외를 많이 찾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코로나19 기간에
비해서는 제주도의 관광 내수가 어느 정도 회복된 건 맞습니다만, 제주도의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무르는 이상, 내국인 관광객들의 선택을 받기가 어려워 보입니다. 향후
제주도의 협의 하에 건설되는 제주 제2공항이 이러한 어려움을 타개할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됩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