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2월 소비자물가 4.8% 상승…향후 전망은?

▷통계청, ‘2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석유류와 축산물 하락세가 원인
▷”3월은 2월보다 더 낮아질 가능성 높아”

입력 : 2023.03.07 16:40 수정 : 2023.03.07 16:40
2월 소비자물가 4.8% 상승…향후 전망은? 출처=통계청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2월 소비자물가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4.8% 상승했습니다. 석유류와 축산물이 하락세로 돌아선 영향이 컸습니다. 다만 상수도 요금이 오르면서 전기·가스·수도는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이어갔습니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38(2020=100) 1년 전보다 4.8% 상승했습니다. 지난달(1) 5.2%를 기록했는데 한 달 만에 0.4%p 축소된 겁니다. 물가상승세는 지난해 7(6.2%)을 정점으로 점차 둔화하고 있습니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 상승률이 1.1%로 전월과 동일했습니다. 농산물과 채소류, 수산물이 각각 1.3%, 7.4%, 8.3% 올랐습니다. 이 중 수산물은 지난달(7.8%)보다 오름세를 키웠습니다. 축산물은 2.0% 하락했습니다.

 

공업제품 상승률은 5.0%로 지난달(6.0%)보다는 상승폭이 둔화했습니다. 석유류가 1.1% 하락했습니다. 석유류 가격이 지난달 같은 달과 비교해 내려간 건 2021 2(-6.3%) 이후 2년 만입니다. 반면 가공식품은 10.4% 올라 지난달(10.3%)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2009 4(11.1%) 이후 최고치다.

 

2월 전기·가스·수도는 28.4% 상승했습니다. 통계청이 해당 품목 통계를 별도로 작성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이어갔습니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지난달 전기·가스 요금에 변화가 있던 건 아니지만,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상수도 요금을 인상한 것이 전기·가스·수도 품목 전체 상승률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향후 물가 전망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출처=한국은행

 

정부는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로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월에 비해 상당폭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환석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지난 6물가 상황 점검회의에서 이번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면서 상당폭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했습니다. 지난해 3월에는 석유류가격이 지난달과 비교해 13.8% 급등했는데 올해는 이 같은 요인이 없는 만큼 지난달 같은 달과 비교해 상승률이 큰 폭 하락할 것이란 예상입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또한 한국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인플레이션 전망에 대해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8%로 내려갔다. 3월의 경우 4.5% 이하로 떨어지고 연말 3%대에 이를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