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기대인플레이션 두 달 연속 4% 진입…”체감 물가 잡아야”

▷1월보다 0.1%p 올라…”공공요금 인상 영향”
▷한경연, 체감물가 안정 대책이 효율적일 것
▷”원인 파악하고 안정화시키는 방안 계속 모색해야”

입력 : 2023.02.21 17:19 수정 : 2023.02.21 17:21
기대인플레이션 두 달 연속 4% 진입…”체감 물가 잡아야”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소비자들의 물가 전망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이 두 달 연속 올라 다시 4%에 진입했습니다. 공공요금 인상 등의 여파를 체감하면서 소비자의 물가 불안 심리가 커진 탓으로 분석됩니다.



출처=한국은행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3.9%)보다 0.1%p 높은 4.0%로 집계됐습니다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해 74.7%까지 올랐다가 123.8%까지 떨어졌습니다. 이후 지난달부터 2개월 연속 오름세입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이란 기업 및 가계 등의 경제주체들이 향후 물가 상승률에 대한 경제주체의 주관적인 전망을 말합니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월 다시 5.2%로 높아진 데다 공공요금 인상 예고가 이어지면서 '물가가 쉽게 낮아지지 않겠다'는 예상이 늘어난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출처=한국은행

 

반면 금리수준전망지수(113)는 지난달과 비교해 19p 하락했습니다. 금리수준전망지수가 100을 넘기면 6개월 뒤 금리수준이 지금보다 오를 것이라고 예상한 사람이 많다는 뜻입니다. 주택가격전망(71)은 지난달과 비교해 3p 올랐습니다. 지난해 11월 이후 3개월 연속 오름세입니다. 

 

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90.2로 지난달보다 0.5p 떨어졌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란 우리나라 가계의 현재 생활형편, 가계수입 전망 등 6개 지표를 표준화해 수치화한 지수를 말합니다. 기준치 100을 넘으면 2003~2021년 평균보다 낙관적,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입니다.

 

이처럼 기대인플레이션율이 오르면서 일각에서는 물가불안 심리부터 안정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실제 한국경제연구원의 발표한 기대체감 인플레이션과 소비자물가와의 관계분석과 시사점보고서에 따르면 기대인플레이션의 소비자물가 영향력이 크므로, 기대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기 위한 체감물가 안정대책이 효율적인 물가안정대책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돼지고기 등 소비빈도가 높고 장바구니 물가와 관련이 있는 생활물가 품목의 가격 안정을 위한 유통구조 개선, 소비 가중치가 높은 품목에 대한 정부 비축물량 방출, 할당관세 적용 확대는 물론 한시적 소비세 인하까지도 필요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남민호 한국은행 통화신용연구팀 과장은 기대인플레이션이 불안정해질 경우에는 실제인플레이션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중앙은행의 물가안정목표 달성이 어려워지고 통화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처럼 기대인플레이션은 통화정책의 유효성에 직결되므로 중앙은행은 기대인플레이션의 변동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안정화시키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