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이 추락하는 합계 출산율…”다각도 방안 마련해야”
▷지난해 합계출산율 0.78명…4년 연속 하락 추세
▷OECD 38개국 중 최하위…출생아 수도 4.4%감소
▷”인구감소로 다양한 문제 야기될 가능성 높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말합니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출생∙사망통계(잠점)’에 따르면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8명을 기록했습니다. 2018년 처음으로 1명(0.98명) 밑으로 떨어진 뒤 4년 연속 하락 추세입니다. 지역별로 보면 세중(1.12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합계출산율이 1명을
밑돌았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회원 중 합계 출산율이 1명을 밑도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합니다. 37위를 기록한 이탈리아(1.24명)와도 차이가 큽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4만 9천명으로
지난해보다 4.4% 감소했습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조출생률은 4.9명으로 지난해보다
0.2명 줄어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30년 전인 1992년(73만명)과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출산 순위별 출생을 보면 지난해 출생아(24만 9000명) 중 첫째아는 15만
6000명으로 지난해보다 8000명(5.5%) 증가했습니다. 둘째아는 7만
6000명, 셋째아 이상은 1만7000명으로 지난해보다 각각 1만
5000명(-16.8%), 4000명(-20.7%) 감소했습니다.
#향후 전망과 해결방안은?
지난해 11월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년과 정성훈 교수를 필두로
발행된 논문인 ‘대한민민국의 출산율 추이 : 동향 및 전망”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수는 2030년 5192만6953명을 유지하다가,
2035년 5162만9895명으로 감소하기 시작하여, 지금부터 40년 후인 2060년에는 4283만7900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저출산 쇼크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정부가 다각도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그동안은 체감 효과가 미비한 백화점식 대책이 중구난방 이뤄지면서 저출생 기조를 반전시키는데 실패했다는 겁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해까지 저출생 대응 예산으로 약 280조원을
투입한 바 있습니다.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정성훈 교수는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출산율을 보이고 있다. 이대로 간다면 향후
인구감소에 따른 여러 사회∙경제적 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다각도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