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수, 23개월 연속 증가세…2023년 전망은 엇갈려
▷41만1000명 증가…증가폭은 8개월 연속 감소
▷KDI∙예산정책처 “인구구조 변화와 비대면 업종 성장으로 취업자 수 감소”
▷김유빈 동향분석실장 “특이점 없으면 올해 취업자 수는 증가할 것”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통계청이 1월 고용동향을 발표한 가운데, 올해 취업자 수 전망을 놓고 엇갈린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수는 2736만3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41만1000명 증가했습니다. 취업자
수는 2021년 3월 이후 23개월 연속 증가했습니다.
다만 증가 폭은 8개월 연속 점진적으로 줄고 있습니다. 취업자 증가폭은 2022년 5월
93만5000명을 기록한 이후, △6월 84만1000명, △7월 82만6000명, △8월 80만7000명, △9월 70만7000명, △10월 67만7000명, △11월 62만6000명, △12월 50만9000명 △2023년 1월 41만1000명으로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2만명), △숙박 및 음식점업(21만4000명), △정보통신업(7만2000명) 등에서 증가했습니다. 반면 제조업 취업자는 3만5000명 줄어 2021년
10월 이후 15개월만에 감소세로 전환했습니다.
지난달 15세 이상 교용률은 60.3%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0.7%p 올랐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E) 비교 기준 15~64세 고용률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0.8%p 오른 67.8%로, 1982년 7월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엇갈리는 고용전망
2023년에는 고용 전망이 밝지 않다는 전망이 여러 기관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는 지난해 작성한 ‘최근 취업자 수 증가세에 대한 평가 및 향후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취업자 수가 1만 8000명 정도 감소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인구구조 변화로 고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핵심노동인구(30~59세) 비중이 급락할 거라 예상했기 때문입니다. 김지연 KDI 연구위원은 “핵심노동인구 비중은 2021년 정점에 도달한 후 감소세로 전환됐고 미래 핵심노동인구인 청년층 비중도 감소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핵심 노동인구 비중의 감소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습니다.
국회 예산정책처 또한 ‘2023년 및 중기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비대면 및 디지털 전환 업종 성장 등을 이유로 연간 취업수 증가수 폭이 2022년 79만 5000명에서
2023년 8만 6000명으로
급감할 거라 전망했습니다.
반면 코로나19 재확산 추세 심화 등 특이점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올해 고용전망은 나쁘지 않을거란 주장도 나옵니다. 김유빈 한국노동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코로나19가 재확산되거나 미∙중 무역갈등 심화 등 위험상황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올해 취업자수는 지난해와 비교해 8만9000명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