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수, 23개월 연속 증가세…2023년 전망은 엇갈려
▷41만1000명 증가…증가폭은 8개월 연속 감소
▷KDI∙예산정책처 “인구구조 변화와 비대면 업종 성장으로 취업자 수 감소”
▷김유빈 동향분석실장 “특이점 없으면 올해 취업자 수는 증가할 것”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통계청이 1월 고용동향을 발표한 가운데, 올해 취업자 수 전망을 놓고 엇갈린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수는 2736만3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41만1000명 증가했습니다. 취업자
수는 2021년 3월 이후 23개월 연속 증가했습니다.
다만 증가 폭은 8개월 연속 점진적으로 줄고 있습니다. 취업자 증가폭은 2022년 5월
93만5000명을 기록한 이후, △6월 84만1000명, △7월 82만6000명, △8월 80만7000명, △9월 70만7000명, △10월 67만7000명, △11월 62만6000명, △12월 50만9000명 △2023년 1월 41만1000명으로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2만명), △숙박 및 음식점업(21만4000명), △정보통신업(7만2000명) 등에서 증가했습니다. 반면 제조업 취업자는 3만5000명 줄어 2021년
10월 이후 15개월만에 감소세로 전환했습니다.
지난달 15세 이상 교용률은 60.3%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0.7%p 올랐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E) 비교 기준 15~64세 고용률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0.8%p 오른 67.8%로, 1982년 7월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엇갈리는 고용전망
2023년에는 고용 전망이 밝지 않다는 전망이 여러 기관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는 지난해 작성한 ‘최근 취업자 수 증가세에 대한 평가 및 향후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취업자 수가 1만 8000명 정도 감소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인구구조 변화로 고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핵심노동인구(30~59세) 비중이 급락할 거라 예상했기 때문입니다. 김지연 KDI 연구위원은 “핵심노동인구 비중은 2021년 정점에 도달한 후 감소세로 전환됐고 미래 핵심노동인구인 청년층 비중도 감소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핵심 노동인구 비중의 감소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습니다.
국회 예산정책처 또한 ‘2023년 및 중기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비대면 및 디지털 전환 업종 성장 등을 이유로 연간 취업수 증가수 폭이 2022년 79만 5000명에서
2023년 8만 6000명으로
급감할 거라 전망했습니다.
반면 코로나19 재확산 추세 심화 등 특이점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올해 고용전망은 나쁘지 않을거란 주장도 나옵니다. 김유빈 한국노동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코로나19가 재확산되거나 미∙중 무역갈등 심화 등 위험상황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올해 취업자수는 지난해와 비교해 8만9000명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