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넷플릭스 계정 공유 유료화가 국내 OTT 시장에 끼치는 영향

▷최대 OTT 플랫폼 넷플릭스, 계정 공유 유료화 나서
▷계정 공유 유료화 실시될 경우, 약3700원 인상 될 듯
▷국내 OTT 시장 확대의 전환점 될 수도

입력 : 2023.01.26 13:37 수정 : 2023.01.26 14:24
 


(출처=넷플릭스 홈페이지)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세계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OTT) 서비스 업체 넷플릭스(NETFLIX)가 타인 간 계정 공유 금지를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넷플릭스는 2017년 트위터를 통해 비밀번호 공유는 사랑라는 글을 올릴 정도로 계정 공유에 호의적이었지만 가입자 수 감소가 계속되면서 남미 일부 국가에서 시행 중이던 공유 요금제를 한국에도 적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넷플릭스가 계정 공유 유료화에 나선 이유로 가입자 수 감소에 따른 실적 하락이 꼽힙니다. 넷플릭스의 지난해 1분기 유료 가입자 수는 이전 분기보다 약 20만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창사 11년 만에 첫 가입자 수 감소 소식에 분기 실적 발표 당일 넷플릭스 주가는 약 35%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현재 넷플릭스는 가구 구성원에게만 계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강제력은 없어 사실상 지인 등 제3자와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가입자 1억명 이상이 가족친구 등과 계정을 공유하고 있다고 추산합니다.

 

#한국에 계정 공유 유료화가 적용된다면?

넷플릭스는 지난해 3월 아르헨티나, 코스타리카 등 남미 일부 국가에서 계정 공유 요금제를 처음 출시했습니다. 해당 국가에서는 가족 구성원이 아닌 제3자에게 계정을 공유할 경유 1인당 2~3달러를 내야 합니다. 최대 2명까지 공유할 수 있고 계정 소유자의 IP 주소 및 계정 활동 등으로 동거 가족 과 제3자를 구분하고 있습니다. 또 여러 기기에 같은 계정으로 로그인할 경우 인증 절차를 거치도록 했습니다.

 

국가별 공유 요금제 가격은 정확히 밝히지 않았으나, 3달러(3700)에서 책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아르헨티나, 코스타리카 등 남미 일부 국가에서 시범 운영 중인 공유 요금제 가격은 1인당 2.99달러입니다.

 

다만, 넷플릭스의 계정 공유 유료화에 소비자들의 반발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조사한 설문조사에 따르면본인 명의로 넷플릭스를 구독하는 이용자 120명 중 42.5%가 계정공유에 추가 비용을 내야 한다면 구독을 취소하겠다고 응답한 바 있습니다. ‘추가 비용을 내겠다는 이용자는 24.2%에 그쳤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누리꾼들은 안 그래도 요즘 볼 거 없어서 해지할까 고민하고 있었는데 넷플릭스가 고민을 결심으로 만들어줬다,해외는 몰라는 우리나라에서는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넷플릭스도 소비자들의 불만을 인지하고 있지만 계정 공유 유료화에 대한 입장에 변동을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넷플릭스는 주주 서한에서 남미 지역에서 관찰한 것처럼 계정 공유 유료화 시 일부 가입자는 구독을 취소할 수 있다면서도 기존에 계정을 빌린 가구가 자체적으로 계정을 만드는 등 계정 수가 늘어나 전체 수익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넷플릭스가 계정 공유 과금에 월 3달러로 책정하면 미국과 캐나다에서 내년 72100만 달러(8900억원)의 추가 수익을 창출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한 광고 요금제가 계정 공유 요금제로 인해 이탈하는 이용자를 보완해 수익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 했습니다.

 

#국내 OTT 시장에 끼치는 영향은?

넷플릭스가 계정 공유 유료화에 나서면서 국내 OTT 업체들에게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 조사 결과, 지난해 유료 OTT 이용률은 넷플릭스가 31.5%로 타 OTT 플랫폼 대비 압도적인 점유율을 지니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외 OTT 플랫폼 점유율은 티빙 7.8%, 웨이브 6.1%로 나타났습니다.

 

이중 계정을 공유하는 이용자는 상당수인 것으로 집계되고 있는데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지난해 9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OTT 이용자 중 86.3%가 유료 구독 계정을 가족, 타인과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그 중 타인과 공유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52%였습니다.

 

이에 계정을 공유해 사용하는 이용자가 많은 넷플릭스 특성상 추가 요금을 부과하게 되면 다수의 이탈자가 발생할 것이고, 이를 국내 OTT 업체가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계정 공유 유료화 정책이 시행되더라도 기존 계정 공유자들은 계속 넷플릭스를 보려는 사람들이기에 눈에 띨 정도의 가입자 감소로는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또한 OTT의 구독자 수는 인기 콘텐츠에 의해 결정되는 만큼 계정 공유 유료화의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