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안전지대는 옛말?…인천 강화서 규모 3.7 지진
▷인천 강화군 서쪽 25km 해역…전원 깊이는 19km
▷SNS에 잇따른 지진제보…”전쟁 난 줄 알았다”
▷서울과 수도권에서도 지진 느껴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9일 새벽 인천 강화도 해상에서 3.7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한밤 중에 재난 문자를 받은 시민들은 “무서워서 잠을 못 자겠다” “전쟁이 난 줄 알았다”며 불안감을 호소했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진은 이날 오전 1시 28분께 인천 강화군 서쪽 25km해역에서 발생했습니다. 진원 깊이는 19km입니다. 경기소방재난본부는
지금까지 총 51건의 지진 관련 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습니다. 인천소방본부
관계자는 “지진 발생 이후 관련 문의 전화가 접수됐다”며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아직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한반도와 그 주변 해역에서 규모 3.5 이상 지진이 발생한 것을 지난해
10월 29일 충북 괴산군에서 규모 4.1 지진이 일어난 뒤 70여일 만입니다.
#불안에 떤 인천과 수도권 주민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지진 제보가 잇따랐습니다.
강화군 한 맘카페 회원은 “살면서 이런 공포감은 처음”이라며 “지진이라는 생각에 앞서 전쟁이 난 줄 알았다”고 토로했습니다. 인천 강화 근처에 살고 있다는 인스타그램 아이디
binasu****은 “헉…지진…집이흔들림요ㅜㅜ 여진이 없어야 하는데 잠 못 잘 것 같아요”라는 글을
게재했습니다.
서울 등 수도권 거주하는 사람들도 SNS에 지진을 느꼈다는 글을 올렸습니다. 가수 나비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방금
지진 난 거 맞죠? 집이 흔들림. 무섭”이라며 지진 경험담을 전했습니다.
인스타그램 아이디 yunjeo****은 “자려고 누웠는데 재난 문자와 함께 미세한 진동 3번ㅠㅠ 여기 경기도
광주인데 내가 느낀 게 지진 때문에 느껴진 진동이라면 진짜 무섭다”고 적었습니다.
#대피요령은?
한편 다음은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지진 발생시 행동요령입니다.
1. 튼튼한 탁자 아래에 들어가 몸을 보호합니다.
・ 지진으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2분 정도입니다.
・ 튼튼한 탁자의 아래로 들어가 탁자 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
・ 탁자 아래와 같이 피할 곳이 없을 때에는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합니다.
2. 가스와 전깃불을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합니다.
・ 흔들림이 멈춘 후 당황하지 말고 화재에 대비하여 가스와 전깃불을 끕니다.
・ 문이나 창문을 열어 언제든 대피할 수 있도록 출구를 확보합니다.
・ 흔들림이 멈추면, 출구를 통해 밖으로 나갑니다.
3. 집에서 나갈 때는 신발은 꼭 신고 이동합니다.
・ 지진이 발생하면 유리 조각이나 떨어져 있는 물체 때문에 발을 다칠 수 있으니,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신발을 신고 이동합니다.
4. 계단을 이용하여 밖으로 대피합니다.
・ 지진이 나면 엘리베이터가 멈출 수 있으므로 타지 말고, 계단을
이용하여 건물 밖으로 대피합니다.
・ 밖으로 나갈 때에는 떨어지는 유리, 간판, 기와 등에 주의하며,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5. 건물이나 담장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합니다.
・ 건물 밖으로 나오면 담장, 유리창 등이 파손되어 다칠 수 있으니, 건물과 담장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대피합니다.
6.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 떨어지는 물건에 주의하며 신속하게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 이동할 때에는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걸어서 대피합니다.
7.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 대피 장소에서는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킵니다.
・ 지진 발생 직후에는 근거 없는 소문이나 유언비어가 유포될 수 있으니, 라디오나
공공기관의 안내 방송 등이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