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지진 안전지대는 옛말?…인천 강화서 규모 3.7 지진

▷인천 강화군 서쪽 25km 해역…전원 깊이는 19km
▷SNS에 잇따른 지진제보…”전쟁 난 줄 알았다”
▷서울과 수도권에서도 지진 느껴

입력 : 2023.01.09 10:36 수정 : 2023.01.09 10:40
지진 안전지대는 옛말?…인천 강화서 규모 3.7 지진 출처=기상청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9일 새벽 인천 강화도 해상에서 3.7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한밤 중에 재난 문자를 받은 시민들은 무서워서 잠을 못 자겠다” “전쟁이 난 줄 알았다며 불안감을 호소했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진은 이날 오전 128분께 인천 강화군 서쪽 25km해역에서 발생했습니다. 진원 깊이는 19km입니다. 경기소방재난본부는 지금까지 총 51건의 지진 관련 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습니다. 인천소방본부 관계자는 지진 발생 이후 관련 문의 전화가 접수됐다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아직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한반도와 그 주변 해역에서 규모 3.5 이상 지진이 발생한 것을 지난해 1029일 충북 괴산군에서 규모 4.1 지진이 일어난 뒤 70여일 만입니다.

 

#불안에 떤 인천과 수도권 주민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지진 제보가 잇따랐습니다.

 

강화군 한 맘카페 회원은 살면서 이런 공포감은 처음이라며 지진이라는 생각에 앞서 전쟁이 난 줄 알았다고 토로했습니다. 인천 강화 근처에 살고 있다는 인스타그램 아이디 binasu****지진집이흔들림요ㅜㅜ 여진이 없어야 하는데 잠 못 잘 것 같아요라는 글을 게재했습니다.

 

서울 등 수도권 거주하는 사람들도 SNS에 지진을 느꼈다는 글을 올렸습니다. 가수 나비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방금 지진 난 거 맞죠? 집이 흔들림. 무섭이라며 지진 경험담을 전했습니다.

 

인스타그램 아이디 yunjeo****자려고 누웠는데 재난 문자와 함께 미세한 진동 3번ㅠㅠ 여기 경기도 광주인데 내가 느낀 게 지진 때문에 느껴진 진동이라면 진짜 무섭다고 적었습니다.

 

#대피요령은?

 

한편 다음은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지진 발생시 행동요령입니다.

 

1. 튼튼한 탁자 아래에 들어가 몸을 보호합니다.

지진으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2분 정도입니다.

튼튼한 탁자의 아래로 들어가 탁자 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

탁자 아래와 같이 피할 곳이 없을 때에는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합니다.

 

2. 가스와 전깃불을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합니다.

흔들림이 멈춘 후 당황하지 말고 화재에 대비하여 가스와 전깃불을 끕니다.

문이나 창문을 열어 언제든 대피할 수 있도록 출구를 확보합니다.

흔들림이 멈추면, 출구를 통해 밖으로 나갑니다.

 

3. 집에서 나갈 때는 신발은 꼭 신고 이동합니다.

지진이 발생하면 유리 조각이나 떨어져 있는 물체 때문에 발을 다칠 수 있으니,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신발을 신고 이동합니다.

 

4. 계단을 이용하여 밖으로 대피합니다.

지진이 나면 엘리베이터가 멈출 수 있으므로 타지 말고, 계단을 이용하여 건물 밖으로 대피합니다.

밖으로 나갈 때에는 떨어지는 유리, 간판, 기와 등에 주의하며,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5. 건물이나 담장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합니다.

건물 밖으로 나오면 담장, 유리창 등이 파손되어 다칠 수 있으니, 건물과 담장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대피합니다.

 

6.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떨어지는 물건에 주의하며 신속하게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이동할 때에는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걸어서 대피합니다.

 

7.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대피 장소에서는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킵니다.

지진 발생 직후에는 근거 없는 소문이나 유언비어가 유포될 수 있으니, 라디오나 공공기관의 안내 방송 등이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