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23명 중 1명은 암 경험했다... 암 유병자 228만 명 시대
▷지난해 기준, 암 유병자 전년대비 13만 명 늘어
▷ 인구 전체에서 가장 많은 건 '갑상선암'... 여성의 경우 유방암
▷ 위암, 대장암 등 생존율 대체로 ↑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2020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새로운 암환자 수는 총 24만 7,952명으로, 이로써 우리나라 암 유병자(1999년 이후 확진을 받아 2021년 1월 1일 기준, 치료 중이거나 완치된 사람)는 약 228만 명이 되었습니다.
전년 약 215만 명 대비 약 13만 명 증가한 규모인데요.
이는 국민 23명당 1명, 전체인구의 4.4%가 암을 경험한 환자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별로 따지면 남자가 26명 중 1명(3.9%), 여자가 20명 중 1명(5.0%)으로 남성에 비해 여성 암 유병자가 더 많습니다.
여성들이
유방암에 특히 취약하기 때문인데요. 유방암 발생률은 여성 인구 10만명
당 84.8명으로 암들 중 가장 높으며, 최근에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암 유병률로 보면 암 환자가 갈수록 늘고 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지만, 암 발생률은 다른 나라에 비해서 아직까지 양호한 편입니다.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우리나라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62.2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300.9명보다 적습니다. 참고로, 미국과 프랑스, 캐나다 등 다른 나라의 암 발생률은 OECD 평균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암의 종류 별로 보면, 갑상선암의 유병자가 48만 9,688명(21.5%)로 가장 많았습니다. 방사선 노출, 비만, 갑상선자극호르몬 등의 영향으로 발병하는 갑상선암은 다른 암들에 비해 비교적 안전한 편입니다.
갑상선암은 발병 시 별다른 고통을 수반하지 않으며, 말기로 전이되지 않은 이상 수술로 충분히 치료할 수 있는데요. 생존율 역시 100%에 달했습니다.
갑상선 다음으로 유병률이 높은 건 위암(33만 217명), 대장암(29만 2,586명), 전립선암(12만 423명), 폐암(11만 1,208명)의 순입니다.
이 중 생존율이 가장 높은 건 전립선암(95.2%)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립선암은 최근 남성을 중심으로 발병율이 늘고 있습니다. 위암의 경우 생존율은 68.9%, 대장암이 71.8%(결장 기준)으로 비교적 양호한 편이나, 폐암은 생존율이 36.8%에 불과합니다.

의학의 발전과 함께 전체적인 암환자의 생존율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최근 5년간 진단받은 암환자의 5년 상대 생존율은 71.5%로, 암환자 10명 중 7명은 5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암을 진단받은 이후, 5년을 넘게 생존한 암환자는 약 137만 명, 전체 암 유병자의 절반 이상(60.1%)입니다. 전년 127만 명에 비해 약 10만 명이나 증가했는데요.
암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이 대폭 향상된 건 물론, 암에 대한 사람들의 경계인식이 강화된 탓입니다. 다만, 담낭 및 기타 담도암, 췌장암은 여전히 치료가 힘들고, 생존율도 각각 29%, 15.2%로 낮은 상태입니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몇 년간 코로나19로 인해 암검진 수검율이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다”며, “암의 조기진단과 치료 성과 향상을 위해 암 검진을 적극 독려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코로나19 방역 정책으로 인해 병원을 찾는 환자가 크게 줄어, 암이 검출되는 일 자체가 줄어들었다는 이야기입니다.
보건복지부 曰 “감염병 발생 시 취약 계층의 발굴과 체계적인 암환자
관리를 위해 매뉴얼 개발 등, 감염병 유행이 반복되더라도 전 주기적 암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