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통화·금융당국 수장들이 간담회서 한 말은?
▷ 금리 상승시 오는 리스크 막기 위해 대응체계 구축
▷ 금융·외환시장, 가계부채 및 취약차주 부채 점검·대응
▷ 고환율·고물가 억제 위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높아

재정·통화·금융당국 수장들이 4일 오전 은행회관에서 조찬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경제팀 수장들이 한자리에 모인 건 지난 달 16일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
이후 처음입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이날 조찬 감담회를 열고 정책 공조 방안을 논의했는데요.
수장들은 "국내외 금리 상승기에 거시경제 리스크 요인들이
현실화하지 않도록 관계부처 합동 대응체계를 구축해 선제적으로 대응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오는 13일 열리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수장들은 '금리 상승기 거시경제 리스크'를 특히 우려했습니다.
수장들은 금리 상승기 리스크와 관련해 "금융·외환시장, 가계부채 및 소상공인·청년층
등 취약차주 부채, 금융기관 건정성, 기업 자금상황 등을
면멸히 점검·대응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금리 인상 가능성은?
시장에서는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상이 기정사실로 받아 들여지고 있습니다.
실제 5월 소비자물가지수 등락률은
5.4% 상승했는데요. 2008년 8월 이후
약 14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입니다.
소비자물가 전망치를 나타내는 6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9%로, 2012년 4월(3.9%) 이후 10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뿐만 아니라 원·달러 환율이
1300원 대를 넘나드는 고환율도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 입니다.
인상 수준은 미국과의 기준금리 역전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빅스텝'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연 1.75%이고 미국은 연 1.50∼1.75%로 양국의 기준금리는 같습니다.
빅스텝이란?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한번에 0.5% 올리는 것을 뜻한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