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2030세대 창업에 눈 돌려…이유는?

▷20대 11.7%, 30대 4% 늘어…높아진 취업난 영향
▷비교적 쉽게 창업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도 영향
▷실패율 높아…”재창업 자금지원 아끼지 말아야”

입력 : 2022.12.28 11:20 수정 : 2022.12.28 11:21
2030세대 창업에 눈 돌려…이유는?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코로나19 이후 청년들의 취업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2030세대가 창업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소상공인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2030세대 청년 소상공인은 지난해와 비교해 큰폭으로 늘었습니다. 20대 창업자는 11.7%로 가장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고 30대 창업자는 4%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들은 왜 창업에 눈을 돌렸나?

 

2030세대가 창업을 선택한 이유는 높아진 취업난에 있습니다. 경기악화로 기업의 채용 인원이 매년 줄어들면서 청년들은 오랜 실업 상태에 머물게 됐습니다.

 

실제 지난해 상반기 기준 청년 체감실업률은 19.9%, 5명 중 1명이 사실상 실업 상태였습니다. 이는 △60(11.3%) △30(9.5%) △50(8.7%) △40(7.9%) 등 다른 연령대보다 월등하게 높은 수준입니다.

 

여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청년들이 선택한 것은 취업이 아닌 창업이었습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1 8월 비임금근로 및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 최근 1년 내 창업한 자영업자 중 22.2%가 창업이유로 "취업이 어려워 창업을 했다"고 답했습니다.

 

청년 취업난뿐만 아니라 소자본 창업에 대한 정부 지원 등 비교적 쉽게 창업을 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도 2030세대의 창업 수요가 늘고 있는 배경이기도 합니다.

 

#문제는?

 

문제는 우리나라의 창업실패율이 너무 높다는 점입니다. 특히 자본이 부족한 2030세대는 창업 실패를 맛본 후 다시 도전하는 일조차 포기하고 남아있는 부채를 갚는데 하루하루를 보내고 잇습니다.

 

실제 중기부 통계에 따르면 신규 창업 기업의 5년 이상 생존율은 30%가 채 되지 않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같은 기간 2030세대 창업의 경우 2곳 중 1곳이 폐업할 정도로 성공이 쉽지 않습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지난해 고깃집 창업 후 폐업한 30A 씨는 없는 돈 끌어 모아 장사를 시작했는데 코로나로 장사가 힘들어지면서 2년만에 폐업했다. 창업 당시 대출금 등 갚아야 할 돈이 많아 요즘은 배달일과 대리운전일을 함께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경기대학교 경영학부 이대성 겸임교수는 사회적으로는 실패가 부끄러운 일이 되지 않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하며 국가적으로는 성공 가능성이 큰 재창업자에 대한 자금지원을 아끼지 말아야한다고 밝혔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