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등 1373명 특별 사면에 엇갈린 여야 반응
▷국무회의 끝난 뒤 서울청사서 특별사면 단행 발표
▷이명박∙김경수 등 주요 정치인과 공직자 대거 포함
▷양당 의견 엇갈려 “사면 철회”VS”구태 정치로 더럽히지 말라”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윤석열 정부가 이명박 전 대통령을 포함한 신년 특별사면 대상자를 발표했습니다. 사면 대상자에는 김기춘 전 태통령 비서실장과 우병우 전 민정수석 등 박근혜 정부 인사들도 다수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를 두고 야권은 강하게 반발하며 철회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고 여당은 윤 대통령의 결단을 구태 정치로 더럽히지 말라며 맞받아쳤습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이날 국무회의가 끝난 뒤 정부 서울청사에서 1373명에
대한 특별사면을 단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전 대통령 등 정치인으로 분류되는 사면 대상자가 9명, 김 전 지사와 김 전 실장,
우 전 수석 등 공직자로 분류되는 대상자는 66명입니다.
정부는 "지난 광복절 사면에 포함하지 않았던 정치인·주요 공직자를 엄선해 사면함으로써 국가 발전에 기여할 기회를 부여한다"며 "새 정부 출범 첫해를 마무리하며 범국민적 통합으로 하나된 대한민국의 저력을 회복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
#특별 사면 대상자는 누구?
사면 대상엔 이명박 전 대통령이 ‘사면과 복권’으로, 전 경남지사 김경수는 ‘복권
없는 사면’으로 포함됐습니다.
이 전 대통령은 횡령과 뇌물 등 혐의로 2020년 10월 대법원에서 징역 17년을 확정 판결받았는데 건강상 이유로 형
집행이 정지된 상태였습니다.
김 전 지사는 2021년 7월
대법원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의 당선을 위해 댓글을 조작 혐의로 징역 2년을 확정받았습니다. 다만 복권 대상에는 들지 못해 2028년 5월까지 피선거권이 제한됩니다.
김성태 전 자유한국당 의원, 최구식·이병석
전 새누리당 국회의원, 이완영 전 자유한국당 의원, 전병헌
전 청와대 정무수석, 신계륜 전 민주당 의원 등 여야 정치인 9명도
사면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박근혜 정부의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 우병우 전 민정수석, 조윤선 전 정무수석,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남재준·이병기·이병호
전 국정원장, 이명박 정부의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도 특사에 포함됐습니다.
이밖에도 정부는 전 자유한국당 권석창·미래연합 이규택 전 의원 등
선거사범 1274명도 복권했습니다.
#야권 비판에 여당 반응은?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27일 “윤석열
대통령의 특별사면, 부패 세력과 적폐 세력의 부활”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민주당 박성준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에서 “이명박 부패 세력과 박근혜
적폐 세력을 풀어준 묻지 마 대방출 사면”이라면서 “국민통합을
저해하고 국론을 분열시키는 사면”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박 대변인은 김경수 전 경남지사에 대한 복권없는 사면에 대해 "사면
불원서까지 제출한 김 전 지사를 끌어들여 사면한 것도 황당하다"며 "10년 이상 형이 남은 범죄자와 곧 만기 출소를 앞둔 사람을 같은 무게로 퉁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끝으로 그는 “국민이 동의하지 않는 이번 사면 결정이 사회적 갈등을
키울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민주당의 논평에 국민의힘은 "갈등을 벗고 통합을 지향하는 윤석열 대통령의 결단을 구태 정치로 더럽히지 말라"며 날을 세웠습니다.
국민의힘 양금희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이번 사면은 통합에 대한 윤 대통령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통합에 대한 대통령의 결단을 구태 정치 시각으로 보는 민주당이 개탄스럽다”고 했습니다.
이어 “자당 출신 문재인 전 대통령처럼 노동계, 시민단체 등 소위 내 식구 중심으로 사면을 강행하는 게 자신들이 말하는 올바른 사면이라는 것인가”라면서 “사면에 정치가 있을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