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역대 최고치...원인은?
▷10집 중 3집은 1인가구...지난해 이어 역대 최고치
▷2050년 39.6%....독일·스웨덴 등은 40% 웃돌아
▷초저출산 현상과 전통적 가치관 균열이 영향 미쳐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1인 가구수가 갈수록 증가하는 가운데 결혼과 출산에 대한 가치관 변화 등이 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7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기준 1인가구는 33.4%인 716만 6천 가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집 중 3집은 1인가구라는 뜻입니다.
2005년까지만 해도 20%에 그쳤던 1인 가구 비중은 2019년 처음으로 30%를 넘어선 데 이어 지난해 또 다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1인 가구 비중은 2050년 39.6%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OECD 주요국 중 영국, 한국, 프랑스, 일본의 1인가구 비중은 30%를 넘었고 독일, 스웨덴, 필란드는 40%를 웃돌고 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인가구 비중은 1.7%p, 2인가구는 0.3%p 증가한 반면, 3인가구와 4인 이상 가구는 각각 0.7%p,1.4%p 감소했습니다.
#1인 가구, 왜 늘어나고 있나?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여러가지 입니다. 먼저 초저출산 현상을 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2021년 합계출산율(가임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이 약 0.8명으로 2018년 처음 1명대 아래로 떨어진 이후 계속해서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됐고 이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가 1인 가구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입니다.
결혼과 출산 그리고 가족과의 동거 등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젊은 세대가 이제는 위로는 노부모를 모시고 아래로는 배우자 및 자녀를 거느리고 살아가는 전통적인 가치관에 더는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여봉 강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과거처럼 개인적 시간과 여유를 희생하는 것을 당연시하지 않게 되면서 결혼과 출산 그리고 가족과의 동거 등을 애초에 거부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대유 하는짓 보면 기가 찹니다
2대한민국 주식시장을 쓰레기 투기장으로 만든 정치인들은 알면서도 내비두는거지? 대표의 고의적인 잘못을 주주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입게 내비두는 것이 진정 국가가 존개한다라고 볼 수 있나? 개인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상법개정을 하루빨리 시행해라.
3이번일을 계기로 국내 주식시장에 경종을 울리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더이상 주가조작세력을 묵인해선 안될것입니다.
4주가조작세력 및 범죄지들이 국내 주식시장을 어지럽히는 문제점을 없어져야 합니다.
5소액주주 권리, 꼭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의 기사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긴 시간 회사의 횡포에도 굳건한 대유 소액주주 연대 항상 응원합니다. 꼭 이루어지길 빌면서…
6귀한정보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7대유 소액주주연대 화이팅하세요. 기자님~ 정확한 정보 기사화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 기사 계속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