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1인가구 전성시대'... 2050년이면 전국 1인가구 비중 40%↑

▷통계청, "2050년이면 전체 가구 중 1인가구가 약 40%"
▷고령층 가구와 미혼/이혼 가구도 증가

입력 : 2022.10.20 16:51 수정 : 2022.10.20 16:52
'1인가구 전성시대'... 2050년이면 전국 1인가구 비중 40%↑ (출처: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혼밥(혼자 밥먹기), 혼술(혼자 술 마시기) 혼코노(혼자 코인노래방 가기) 등 우리나라에선 홀로노는 행위가 일상의 양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소가 바로 ‘1인 가구입니다. 혼자서 살면서 즐길 수 있는 방법들이 점차 보편화되는 것인데요.

 

부모로부터 독립하거나, 직장 혹은 대학으로 인해 자취를 하는 등 홀로사는 사람들을 바로 1인가구라 칭합니다.

 

기업들이 이들을 위한 맞춤 상품을 속속 내놓는 등, 1인 가구는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2020년의 1인가구 비중은 전체 가구 중 31.2%로 나타났습니다. 열 가구 중 세 가구가 1인가구인 셈인데요.

 

다가오는 미래, 우리나라에서 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어떻게 변화할까요? 답은 증가입니다.

 

통계청은 장래가구를 산출하는 가구주율법을 통해 오는 2050, 전체 가구 중 1인가구 비중이 39.6%에 달할 것으로 계산했습니다.


 

(출처: 통계청)

 

 

가구 수로 따지면 905만 가구로, 30년 만에 258만 가구(8.4%)가 증가한다고 통계청은 내다보았는데요. 서울뿐만 아니라, 강원, 충북 등 9개 시도에서 1인 가구가 40%를 넘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모든 가구유형을 짚어봤을 때, 2050년에 가장 많은 건 1인가구입니다.

 

1인가구가 39.6% 1, 그 다음으로 부부자녀가 23.3%, 부부+자녀가구가 17.7%로 변화한다는 전망인데요.


이로 인해 평균 가구원수도 감소합니다.

 

경기와 세종을 제외한 15개 시도 평균 가구원수가 2명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0년의 평균 가구원수는 2.37명인데 이것이 점차 감소해 2050년에는 1.91명까지 떨어집니다. 특히, 강원도와 경북의 평균 가구원수는 1.77명으로 줄어드는 등 1인가구의 비중과 영향력은 점차 증가할 예정입니다.

 

지역 별로 살펴보면, 2020년에 1인가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대전입니다. 대전(35.4%), 서울(34.4%), 강원(34.3%) 등의 순입니다.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대전은 전체 가구 수가 줄었지만 오히려 1인가구는 증가했습니다. 비혼과 만혼이 늘고, 고령화에 따른 사별 등이 잦아진 탓인데요

 

대전시는 약 1,16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1인가구를 지원하겠다는 방안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2050년에는 이 순위가 뒤바뀔 것으로 보입니다. 전국 1인가구 비중은 강원이 44.1%, 충북과 대전이 43.5% 순으로 높습니다.

 

강원과 충북의 1인가구가 크게 증가한 데에는 고령화가 많은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별로 인해 배우자를 잃는 사례가 크게 늘어난 것인데요.

 

2050년까지 1인가구 비중이 늘 것이란 통계청의 전망은 무조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는 힘듭니다.

 

1인가구의 수가 증가하는 데에는 청년층의 영향도 있지만, 고령화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2020년 당시, 1인가구 중 39세 이하 비중은 36.7%로 가장 높았습니다. 60세 이상이 33.7%, 40~59세가 29.6% 순이었는데요. 2050년에는 60세 이상 1인가구가 다른 세대를 앞지릅니다.

 

1인가구 중 60세 이상 비율이 58.8%로 가장 높을 것이라 통계청은 전망했는데요. 지역 별로 살펴봐도, 오는 2050년에 홀로 사는 60세 이상 가구는 전남, 경북, 경남 등에선 60% 이상을 넘길 것으로 보입니다. 11개 시도의 1인 가구 10가구 중 6가구는 60세 이상인 셈입니다.

 

1인가구 뿐만 아니라, 고령화 가구 수가 증가하는 건 가구주 연령에서 더욱 뚜렷이 드러납니다.

 

2020년에는 40~59세 가구주가 전체의 43.7%로 가장 많았으나, 2050년이 되면 모든 시도에서 60세 이상이 58.1%로 가장 많아질 것이란 예상인데요. 이 영향으로 가구주의 중위연령도 52.6세에서 64.9세로 증가합니다.

 

홀로 사는 1인가구는 이혼과 사별 등 기타의 사례를 제외하면 미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통계청은 오는 2050년이면 우리나라 전국의 유배우 가구수, 그러니까 배우자와 함께 사는 가구의 수는 줄어들고 미혼과 이혼 가구주는 늘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020년 가구주의 혼인상태 비율은 유배우가 60.7%(1,258만 가구)로 가장 많고, 미혼이 19.6%(407만 가구), 사별이 10.1%(210만 가구), 이혼이 9.6%(198만 가구) 순입니다

 

이 수치가 2050년에는 유배우 비중이 45.3%, 미혼이 29.6%, 이혼이 14%, 사별이 11.1% 순으로 변화합니다. 미혼이 30년 사이 10%, 이혼이 약 5% 증가한 것인데요.

 

종합하자면, 1인가구의 비중이 증가하는 건, 미혼(혹은 이혼) 가구수의 증가와 밀접한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지난해 0.808명이라도 턱없이 낮은 출산율을 고려해보면, 미혼 가구수가 증가할 것이란 전망을 긍정적으로 해석하기는 어려워보입니다.

 

통계청은 향후 30년간 우리나라 가구는 점점 더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050년이면 모든 시도에서 1인가구 비중은 40%, 2인가구 비중은 30%를 넘깁니다.

 

반면, 3인가구의 비중은 모든 시도에서 감소하며 4인가구의 경우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10% 미만으로 줄어듭니다.


2050년이면, 우리나라는 부모님과 미혼의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을 넘어 점점 더 가족의 형태가 작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