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같이 팔아선, 이전처럼 살 수 없다... 10월 수출입 지표 모두 악화
▷ 수출물량·금액지수 ↓, 수입물량·금액지수 ↑
▷ 교역조건을 보여주는 '교역조건지수'도 모두 악화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30일, 한국은행에서 지난 10월의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수출물량지수와 순상품교역조건지수,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전년동월대비 하락한 반면, 수입물량지수는 상승하면서 지난 10월 우리나라 무역 성적이 좋지 못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2년 10월 수출물량지수는 전년동월대비 3.4% 하락했습니다.
수출물량지수란, 수출 물량이 얼마나 변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2015년 100을 기준으로, 2015년보다 수출을 얼마나 많이 혹은 적게 했는지 수출물량지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요.
지난 10월의 수출물량지수가 하락한 데에는 화학제품,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의 수출량이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반도체, 석유화학, 디스플레이, 무선통신 제품 등이 전세계적으로 수요가 줄어들면서 국내 수출 물량 역시 줄어들었는데요.
품목 별로 살펴보면, 섬유 및 가죽제품의 수출물량지수가 전년동월대비
20.1%로 가장 크게 떨어졌고, 석탄 및 석유제픔 -12.4%, 화학제품 -9.6% 등의 순입니다. 그나마 운송장비(20.5%), 컴퓨터 및 광학기기(7.5%) 등의 수출이 늘었지만, 총 수출물량지수의 하락세를 막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수출물량지수는 ‘수출금액지수’와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10월 수출금액지수 역시 전년동월대비 6.7% 떨어졌는데, 수출물량지수보다 그 낙폭이 큽니다.
섬유 및 가죽제품(-19%), 제1차금속제품(-16.2%), 농림수산품(-15.7%),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13%) 등 각겨 조사가 어려운 선박, 무기류, 항공기, 예술품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품목의 수출금액지수가 하락했습니다.
운송장비(19.6%), 석탄 및 석유제품(8%) 등만 수출금액지수가 올랐습니다. 수출금액지수뿐만 아니라 지난 10월의 수출액 역시 전년대비 5.7% 감소한 524억 8천만
달러인데요. 즉, 지난 10월의
수출은 물량과 금액 모든 면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수입은 물량지수와 금액지수가 모두 전년동월대비 상승했습니다. 각각 5.3%, 9.8% 올랐는데요. 금액지수가 물량지수보다 높다는 뜻은, 그만큼 수입제품들의 가격이 인상되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수입물량지수를 품목 별로 보면, 운송장비(52.8%)가 전년동월대비 가장 크게 올랐고, 석탄 미치 석유제픔(-17.7%), 제1차 금속제품(-19%)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품목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수입금액지수 역시 운송장비(32.4%)가 가장 오름세가 컸으며, 광산품(28.6%)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10월 교역조건지수의 경우 전년동월대비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교역조건지수란, 수출상품과 수입상품의 교환비율을 말합니다. 즉, 물건 하나를 수출해 얻은 돈으로 수입을 얼마나 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가 바로 교역조건지수라 할 수 있는데요.
이 교역조건지수는 2000년 당시 100을 기준으로,
100보다 높으면 교역조건이 양호해 무역이익이 늘고, 100보다 낮으면 교역조건이 악화돼
무역이익이 감소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교역조건지수에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와 ‘소득교역조건지수’가 있습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란, 수출 1단위로 살 수 있는 수입량을 의미합니다. 이 수치 역시 100을 기준으로, 100보다 높으면 수출 1단위 당 수입량이 많은 것을, 100보다 적으면 수출 1단위 당 수입량이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우리나라 물건을 비싼 값에 팔면 팔수록, 수입 제품의 가격이 낮으면 낮을수록 순상품교역조건지수가 100 이상으로 올라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무역경제 상황이 상당히 좋다는 뜻인데요.
하지만 지난 10월의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전년동월대비 7.4% 하락했습니다. 수출가격은 떨어지고, 수입가격이 올랐기 때문입니다.
소득교역조건지수의 경우, 이 순상품교역조건지수에 수출물량지수를 곱한 지표를 뜻합니다. 이는 즉, 우리나라가 수출해서 번 돈으로 수입을 얼마나 할 수 있을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수출 1단위로 ‘살 수 있는’ 수입량에, 수출 1단위를 ‘얼마나’ 했는지를 보여주는 물량 지수를 곱했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순상품교역지수가 양호해도 수출물량지수가 떨어지면 좋은 소득교역조건지수를 기대하기가 힘듭니다. 비싼 값에 수출해도, 많이 팔지 못한다면 소용이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 순상품교역지수가 악화되어도 수출물량이 크게 증가하면 좋은 소득교역조건지수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값싸게 많이 팔아 수입량을 늘리는, 이른바 박리다매(薄利多賣)인 셈입니다.
결국 소득교역조건지수의 핵심은 ‘수출물량지수’로 볼 수 있는데요.
10월의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전년동월대비 10.6% 떨어졌습니다. 9월 당시의 하락폭(-6.4%)보다 큰 수치입니다.
10월 소득교역조건지수가 다른 지표들보다 하락폭이 큰 이유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의 하락(-7.4%)는 물론 수출물량지수(-3.4%)가 동반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즉, ‘수출금액과 수출물량은 줄었지만 수입물가가 올랐다’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현 수출 상황으로는 이전과 같은 규모로 수입을 할 수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