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미국 고용지표 떨어져...관세·이민 정책의 '그림자'
▷7월 고용보고서 발표...5·6일 일자리 수치 약 25만개 하향
▷팬더믹 이후 최저 고용 증가...관세 정책·이민 규제 영향
![[외신] 미국 고용지표 떨어져...관세·이민 정책의 '그림자'](/upload/48307aa5df7b47f58304711b0a9231ce.jpg)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최근 미국의 고용지표가 대폭 하향 수정되면서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고용 부진의 원인으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이민 규제가 지목되고 있다.
7일 미국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BLS)이 발표한 7월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5·6월의 일자리 수치를 총 25만8000개 하향 수정했다. BLS는 매달 '예비 고용 수치'를 발표하는데 이때 지난달 수정치와 지지난달 최종 수청치를 발표한다. CNN은 "이처럼 두 달 연속으로 대규모 고용 수치 하향 조정이 있던 시기에에는 1968년 이후 예외 없이 미국 경제가 침체에 들어섰다"고 지적했다.
고용 통계 수정 자체는 흔한 일이지만 이처럼 규모가 크고 연속된 경우는 드물며 과거 사례에서는 항상 경기 후퇴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도 이 같은 조정이 최근 고용시장의 전반적인 둔화 흐름과 일치한다고 분석했다.
올해 미국은 월 평균 약 8만5000개의 일자리가 추가됐다. 이는 팬더민 이전 평균(17만7000개)과 비교했을때 약 48% 수준이다. 특히 교육과 보건 분야를 제외한 민간 부문에서는 최근 3개월 동안 일자리 수가 오히려 줄었다. 미 의회예산국(CBO) 필립 스와겔 국장은 "고용시장 상황이 매우 나쁘다"며 우려를 표했다.
◇고용 부진의 배경은?
고용이 부진한 데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이민 규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기업들이 무역 불확실성과 비용 증가를 우려해 신규채용을 꺼리게 되면서 고용감소로 이어진 셈이다. 실제로 지난 4개월간 미국 노동시장에서는 약 140만 명이 노동시장 밖으로 빠져나갔다. 이 중 80만 명이 외국인 출신이다.
CNN은 실업률이 실제보다 더 낮을 거라고 말했다. BLS 집계 방식에 따르면 '일자리를 원하지만 구직활동 하지 않는 사람'은 실업자에 포함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업률은 현재 공식 수치인 4.2%보다 높은 4.5% 수준이라 보고 있다.
이번 보고서로 인해 미국 경제가 ‘모호한 침체 경계선’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고용지표가 경기의 후행지표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미 기업 현장에서는 최근 인력 부족을 걱정하기보다 채용을 멈추고 투자를 미루는 쪽으로 방향을 바꾸고 있다.
미국 경제가 당장 침체에 빠졌다고 보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CNN은 "미국 싱크탱크인 전미경제연구소(NBER)는 경기 침체를 판단할 때 소비, 소득, 산업생산, 고용 등 네 가지 주요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데 아직 이들 지표가 모두 침치를 가리키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다만 고용지표의 급격한 둔화로 연준(Fed)의 통화정책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트루이스트의 키스 러너 공동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연준이 금리 인하 타이밍을 놓치고 있는 것일 수 있다"며 조기 대응 필요성을 제기했다.
◇백악관·공화당 입장은?
연준의 정책 대응이 뒤따르지 않을 경우, 경기 둔화는 더 깊어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로버트 루지렐로 브레이브이글웰스매니지먼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이번 고용지표는 고용 시장이 사실상 멈췄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정책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기업들은 채용과 투자를 계속 미룰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또한 계절 조정 과정에서의 오차 가능성도 주목된다. BLS는 통상적으로 미응답 기업의 데이터를 추정값으로 대체하고, 계절별 고용 변화 패턴에 따라 수치를 보정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고용 트렌드가 빠르게 변하면서 기존의 계절 조정 알고리즘이 실제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많다. 이에 따라 다음달 이후 발표될 수치에서도 큰 폭의 수정이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백악관과 공화당은 고용지표 둔화를 일시적 현상으로 규정했다. 전반적인 경제 기초 체력은 여전히 견고하다는 입장이다. 정치적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이번 고용보고서 직후 트럼프 대통령은 고용 통계를 집계하는 노동통계국의 국장을 전격 해임했다. CNN은 "전문가들은 이 조치가 고용 지표 악화에 대한 불만 표출이자 경제 상황을 통제하려는 정치적 시도로 해석된다"고 보도했다.
이번 고용지표 발표는 단순한 '숫자 조정'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노동시장 약화가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다시 경기 전반의 둔화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아서다. 미국 경제가 향후 몇 개월 동안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연준과 행정부의 대응이 중요한 시험대에 오르고 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