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할 수 없는 흐름이 된 ‘무인 전투기’ 개발…문제점은 없나?
▷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AI Pilot 무인전투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 정책토론회 개최
▷”무인 전투기 도입 신중하게 단계적인 접근 필요해”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무인 전투기가 필요한 건 개발자나 사용자 모두가 공감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사용해 본 적 없는 신무기라 어떻게 운영해야 되는지 아무도 확신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용덕 국방과학연구소 국방 AI센터
6실장은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된 ‘AI Pilot
무인전투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김 실장은 “무인 전투기는 인구가 줄고 있는 상황에서 고급
자원인 조종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금액이 필요하고 소실될 경우 적지 않은 피해가 발생한다”라며
“이 같은 위험을 줄이고 조종사의 업무를 커버하는데 무인 전투기가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무인 전투기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이어 “국방과학연구소는 전통적인 AI, 클래식 AI로 많은 전문가 시스템을 활용한 규칙 기반 AI와 이를 바탕으로 학습을 진행한 AI 조종사를 개발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주제 발표 중인
현재 무인 전투기가 인간보다 뛰어난 역량을 보이고 있는 사례가 존재한다고 밝히는 한편, AI 기반의 무인 전투기 도입에 있어 신중한 태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 실장은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AI 교전 모델과 실제 전투기 조종사 간 교전 평가를 실시한 결과, 모의
환경 내에서 AI 교전 모델이 조종사와의 교전에서 전승을 거뒀다”라며
“다만, 지금 당장 내일 어떤 기술이 나올지 모르는
빠른 기술 속도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급격하게 많은 것을 얻으려는 것보다 단계적으로 문제를 풀어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학습만 한
AI의 특징은 설명이 불가능하다는 점에 있다면서 앞서 미국에서 실시된 가상훈련에서는 AI가
임무에 방해된다는 이유로 조종사를 제거하는 보도가 나왔다”라며 “따라서 학습만 한 AI의 경우, 정책적으로나
윤리적으로 위험한 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기 위한 규칙 기반의 룰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과거 오펜하이머는 나치가 먼저 핵폭탄을 만들지
모른다는 우려로 인해 뒷일을 생각하지 않고 핵폭탄을 만들었다. 우리 역시 이와 같은 전철을 밟고 있는지도
모른다”라며 “무인 전투기가 기존
개발 취지와 다르게 사용되지 않도록 군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어떻게 사용될지에 대해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