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전기장판 소비자 상담 9배 급증...알아 둬야 할 ‘이것’
▷품질·안전 문제가 50.5% 차지..."KC인증마크 확인 필수"
▷라텍스 매트리스와 함께 사용 안 돼...'말아서' 보관

[위즈경제] 이필립 기자 = A씨는 2023년 11월에 전기장판을 샀다. 2024년 1월, 발열이 되지 않아 서비스 센터에 연락했다. 사업자는 무상 수리를 위한 운송비 등 A씨에게 추가 비용을 요구했다.
B씨는 2023년 12월에 전기장판을 구매한 후 10일 정도 사용하던 중 열선이 타버려
사업제에게 반품을 요청했다. 요청이 거절돼 B씨는 전기장판을
다시 샀다. 두 번째 구매한 제품의 열선도 사용 이틀째 탔다. 제품
교환을 요구하자 사업자는 이번에도 B씨의 요청을 거절하며 제품 하자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9~2023년) 전기장판 관련 소비자 상담은 총 6,096건으로, 매년 1,000건 이상 꾸준히 발생했다. 10월부터 상담이 급증해
11월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흐름이다. 전기장판 관련 소비자 상담은 지난 10월 한 달 간 130건 접수돼 전월(14건) 대비 약 9배 급증했다. 전체
품목 중 가장 큰 상승폭이다.
이 중 소비자가 온라인으로 전기장판을 구매한 후 7일 이내에 반품을
요구했으나 거부당하거나 과도한 반품비용을 요구받는 등 A씨·B씨의
경우와 같은 '청약철회' 관련 상담이 7.1%(434건)를 차지했다.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
따르면 품질보증기간 내 성능 하자(A씨의 경우)는 무상 수리
대상이며, 이때 사업자가 추가비용을 청구하는 것은 부당 행위다. 또한
품질보증기간 내 동일한 하자가 재발하면(B씨의 경우) 수리
불가능으로 간주하고, 제품 교환이나 환불을 할 수 있다.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은 ‘소비자기본법’
제16조에 근거해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고시로, 분쟁
조정 시 참고사항이다.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전자상거래법) 제17조와 제21조도
A씨·B씨의 사례와 같은 사업자의 부당한 비용 청구, 청약철회 거절 등을 금지한다.
그 밖의 상담 사유는 품질 관련이 38.2%(2,326건)로 가장 많았고, ▲AS 불만 23.6%(1,436건) ▲안전 문제 12.3%(748건) ▲계약불이행 5.4%(327건) ▲계약해지·위약금 5.3%(325건)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전기장판을 살 때 KC마크와 안전인증번호가 있는 제품을
고르고, 제조사나 판매처의 정상적인 AS가 가능한지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사용할 때는 고온에서 장시간 사용을 피하고, 라텍스
재질의 침구와 함께 쓰지 말아야 한다. 라텍스는 열 흡수율이 높고 열이 축적되면 잘 빠져나가지 않아
화재 위험성이 높기 때문이다.
보관 시에는 열선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품을 접지 말고 둥글게 말아서 보관해야 하며, 위에 무거운 물건을 쌓아두지 말아야 한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반드시
콘센트를 뽑거나 스위치를 꺼 과열이나 합선을 예방해야 한다.
댓글 0개
Best 댓글
누가 소액주주와의 연대와 경제정의 실현, 주주보호를 참칭하며 주주들 뒷통수를 친 건지 , 코아스는 대답해야 한다. 누가봐도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결국 회사 인수에도 실패, 그러고도 무슨 낯짝으로 이화피해주주보호와 연대를 외치는 건지, 정리매매 때 싼값에 주식사서 한탕해먹으려던 뻔한 수작, 뻔한 민낯 ..
2코아스같은 기업이 한국땅에 존재하는 한 이화연대 주주같은 피해자는 계속 양산될것이다. 만약 이재명정부의 고위직에 계신분이 이화주주연대의 이 피끓는 절규들을 읽으신다면 특별법에의거해서 철저한 조사와 시장교란행위에대해 엄벌을 내려주시길 바랍니다.
3이화그룹주식으로 가슴에 피멍이든 우리주주연대를 우습게 보지 말아라 2년6개월동안 수많은 날들을 이주식 살리고자 밤잠을 설쳐가며 고민했고 실날같은 거래재개를 위해 한국거래소 국회 여의도에서 목이터져라 외쳐댔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기억이나 하는가 ᆢ진정 우리들의 눈물의밥을 짐작이나 하겠느냐 같이 주주운동을하다 암으로 죽어가며 언니 거래재개 못보고 갈것같애 하던 동생이 생각난다 많은 주주연대 사람들의 고통과 땀과 인내로 견뎌온 주주연대를 최대치로 대우하고 인정하고 보상해줄 각오하고 코아스는 연대와 협상에 임하라
428만 주주의 피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정리매매 속 지분 매입은 주주 보호가 아닌 사익 추구일 뿐입니다. 진정한 책임은 회피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주를 위한 투명한 협의와 사과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5것도 좋은 잉시지라고 봅니다 코아스는 진정한 기업이라면 이제라도 주주연대와 협협의에 나서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주주들은 좋고요
6코아스 당신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들 너의가 고스란이 거두어갈것이다 이화그룹3사는 이 본질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화주주연대와의 진정어린 사과와 협의를 최션을 다하여 임해주길 바란다
7코아스는 이화그룹 싸게 먹을려다 오히려 당하게 생겼으니 소액주주와 소통을 한다.처음부터 소통을 하지 죽게 생겼으니 이제와 무슨말을 합니까. 계획도 없으면서 그냥 싼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