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비판적 이해 역량 높인다
▷ 고흥석 국립군산대 조교수, 'SNS 비판적 이해 역량을 감소시키는가?' 논문 조사 결과
▷ 연령이 낮고, 교육 수준이 높고, 개인 소득이 높을수록 SNS 비판적 이해 역량 증가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SNS'가 비판적 이해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제12회 한국미디어패널 학술대회 발표 논문인 고흥석 국립군산대 미디어문화학부 조교수의 'SNS가 비판적 이해 역량을 감소시키는가?'에 따르면, SNS 이용시간과 SNS를 통한 상호작용이 증가할수록 이용자의 비판적 이해 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조교수는 우리나라 스마트폰 과의존위험군이 23.1%에 이른다는 통계자료를 인용하며 "스마트폰이 현대 사회의 필수 매체임과 동시에 과도한 이용과 의존으로 인해 사회적 문제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최근의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지배적인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는 SNS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의존 현상으로 인해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의 핵심 요소인 비판적 이해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는 연구 취지를 밝혔다.
연구진은 2023년 '한국미디어패널' 조사 데이터에서 만 13세로 최근 3개월간 SNS 계정을 이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5,240명을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조사 결과, 주중과 주말 모두 오락성 콘텐츠 소비를 위한 목적으로 사람들은 가장 많은 시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일상의 기록과 공유, 지인과의 소통과 교류 목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별로 보면, 13세부터 19세 연령대의 경우 다른 연령 집단에 비해 소통과 교류 목적의 SNS 이용이 두드러졌다. 20대는 개인적 관심사와 일상의 기록 및 공유 목적으로 SNS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SNS 이용행태가 비판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성과 연령, 교육수준, 개인소득을 등을 변인 삼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개인 소득이 높을수록, SNS 이용시간과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비판적 이해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흥석 국립군산대 미디어문화학부 조교수 曰 "연령과 교육 및 소득 수준은 비판적 이해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동시에 SNS 이용시간과 SNS를 통한 상호작용도 비판적 이해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SNS 이용시간은 SNS 과의존이 아닌 개별 서비스의 목적성에 부합하는 형태로 활용되고 있는 근거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고 조교수가 SNS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사회적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짚었듯, SNS 중독은 정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윤명숙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등이 작성한 '성인의 SNS중독과 SNS피로감, 우울의 관계' 논문에 따르면, SNS를 어떤 이유로 사용하건 간에 가상공간에서 피로감을 느낀 경우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중년 초기 성인들의 경우, SNS사용과 관련해 장시간 사용에 따른 육체적 피로는 물론 사생활 침해 및 정보유출 우려, 감당하기 어려운 정보의 양, 상대적 박탈감으로 피로감을 느낄 때 우울증상과 직결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