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1인가구 171만 가구 기록…전국 최고치 또 경신
▷경기도 1인가구 171만 가구 달해…도 전체 가구 중 31.2% 차지
▷경기도 1인가구 비중 매년 증가세…전국 1인가구 21.9%가 경기도 거주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경기도 1인가구는 171만 가구이며, 도 전체 가구 가운데 31.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1인 가구 수는 2020년부터
매년 전국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경기도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 경기도 1인가구 통계’를 4일
발표했다.
이번 자료는 통계청에서 지난달 말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와 여성가족부의 가족실태조사, 경기도의 사회조사 등 총 6종의 다양한 통계를 바탕으로 1인 가구 현황을 ▲인구·가구 ▲주거 ▲여가 등 8개 분야로 재분류한 자료다.
경기도의 1인가구 수는 전년(163만) 대비 약 8만 가구가 증가한
171만5천 가구로 집계됐으며, 이는 도 전체
가구(550만) 중
31.2%를 차지한다.
경기도의 1인가구 수와 비중은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국 1인 가구의 21.9%가
경기도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인가구 수는 2020년부터
서울시를 넘어서 매년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시군별로는 수원(10.5%), 성남(7.6%),
고양(7.4%), 화성(7.0%), 용인(6.2%) 등 인구 상위 5개 시에
1인가구가 집중돼 있다.
시군별 전체 가구 대비 1인가구 비율은 연천(38.6%),
가평(38.5%), 동두천(37.1%)이 높았으며, 과천(18.0%), 의왕(24.0%),
남양주(25.1%)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1인가구로 생활한 기간은 5~10년
미만이 30.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10~20년
미만이 26.4%, 3~5년 미만이 16.1%로 그 뒤를
이었다.
2020년과 비교해 5~10년
미만이 13.8%p 상승한 반면, 1년 미만과 1~3년 미만은 각각 6.7%p, 5.1%p 감소하며, 1인가구 생활기간이 장기화되는 추세가 확인됐다.
1인가구가 겪는 어려움으로는 10가구
중 4가구가 ‘균형잡힌 식사(44.9%)’와 ‘아파거나 위급할 때 혼자서 대처(42.65)’를 꼽았다.
또한 1인가구의 생활비 지출은 주거비(30.7%)와
식료품비(26.5%), 의료비(21.0%)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