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펫로스 증후군을 아시나요?

▷오은영 박사 등 유명인들도 펫로스 증후군 겪어
▷상실감과 우울증 겪어...자살 택하는 사람도 있어
▷같은 일을 경험한 사람과 슬픔 공유하는 것이 좋아

입력 : 2022.10.19 17:10 수정 : 2022.10.19 17:09
펫로스 증후군을 아시나요?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 펫로스 증후군(Pet Loss Syndrome)이란 반려동물이 죽었을 때 상실감, 죄책감, 우울증 등 정신적인 고통을 겪는 현상을 말합니다심리학의 저자 세르주 치코티는 반려동물이 죽었을 때 "남자들은 가까운 친구를 잃었을 때와 같은, 여자들은 자녀를 잃었을 때와 같은 고통을 느낀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오은영 박사와 배우 구혜선 등 유명인들도 반려동물을 떠나보낸 뒤 힘든 시간을 겪었다고 고백했습니다. 

 

반려동물 천만시대가 오면서 펫로스 증후군을 겪고 있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국내의 애견인구는 2000년 전후로 급속히 증가했습니다. 2000270만명에 불과했던 애견인구는 22년 만에 1400만명이 넘어 무려 6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2000년 전후에 키우기 시작한 애완견은 현재 수명이 다하기 시작하는 나이입니다. 그러다 보니 요즘 들어 유독 반려인이 반려동물을 하늘로 보내고 힘들어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펫로스증후군, 얼마나 힘든가?

 

반려동물이 죽은 후 반려인들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고통을 받습니다. 의학저널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따르면 반려견이 죽은 후 심한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61세 여성에게서 '상심 증후군'이 발견됐습니다.

 

상심증후군은 연인과의 이별이나 가족의 죽음 등 정신적인 충격을 크게 받은 여성들에게 주로 생기는 심인성 심장질환의 일종입니다. 반려동물을 죽음을 경험하는 것이 연인과의 이별과 가족의 죽음 못지 않게 엄청난 충격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사례입니다.

 

14년 넘게 말티즈를 키웠다는 직장인 A씨는 "키우는 강아지를 잃고 큰 상실감에 빠졌다. 한 동안 어떤 일에도 집중할 수 없었고 밥도 먹지 못했다"면서 "그런 슬픔을 또 다시 경험하고 싶지 않아 앞으로 강아지는 키우지 않을 생각"이라고 말했습니다.

 

심지어 증상이 심할 경우 반려동물의 죽음을 극복하지 못하고 자살을 택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극복 방법은?

 

펫로스 증후군은 보통 2개월 정도가 지나면 호전이 되는 걸로 알려져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만약 계속해서 우울이 지속되는 등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힘들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펫로스 증후군을 이겨내기 위해서 우선 사람과 반려동물에게 다르게 적용되는 시간을 인정할 것을 조언합니다. 수명의 차이를 인정하고 반려동물에게 구체적으로 해주고 싶은 크고 작은 일들을 실천하는 것이 보호자로서 후회와 아쉬움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다는 겁니다.

 

이동귀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는 "반려동물이 수명 자체가 짧다는 건 모두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사람들이 이에 대해 잘 생각을 안 하는 것 같다"면서 "같은 인간끼리도 언제 한 번은 헤어져야 하는데 삶의 한 과정으로 수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반려동물을 경험했거나 공감할 수 있는 사람들과 슬픔을 공유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치 거울을 통해 자신을 살피듯이 동병상련의 아픔을 경험한 사람들과 슬픔을 토로하면서 위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반려동물 상실 증후군 상담 센터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을 고려해 비대면 온라인 상담센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