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입주율 15개월 만에 최저 수준..."유동성 지원 확대 필요"
▷지날달 입주율 79.2%...전달보다 5.1% 하락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최근 청약 당첨자들이 잔금 대출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서울 아파트 입주율이 15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서울 대다수 아파트 가격이 무섭게 치솟으면서 잔금 대출을 확보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16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6월 전국 입주율은 63%로 5월 대비 0.6%p 소폭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76.5%에서 77.6%로 1.1%p 상승했습니다. 인천·경기권이 72.5%에서 76.9%로 4.4%p 큰 폭 상승하며 수도권 상승폭을 이끌었습니다.
하지만 서울은 지난달 입주율이 79.2%로 전달 84.3%보다 5.1%p나 하락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입주율은 지난해 12월 79.9%에서 올해 1월 85.6%로 뛴 이래 지난 5월까지 80%대에서 등락했으나 5개월 만에 다시 70%대로 추락했습니다.
노희순 주산연 연구위원은 "서울 대다수 아파트 가격이 신생아 특례대출과 보금자리론 등 대출 가능 한도 금액을 넘어서면서 잔금 대출을 확보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미입주 원인으로는 기존 주택 매각지연(43.1%→41.5%)이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잔금대출 미확보(23.5%→22.6%), 세입자 미확보(21.6%→20.8%), 분양권 매도 지연(2.0%→5.7%)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전문가들은 급격한 금리인상과 재고주택가격대비 높은 분양가 상승일 경우, 주택건설업체에 대한 유동성 지원 확대를 통해 안정적 주택공급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김지혜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재고주택 가격변동은 시장기능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나 금리가 안정될 때까지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한 주택구입지원 강화, 주택건설업체에 대한 유동성 지원 확대를 통해 안정적 주택공급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3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4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5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6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7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