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난항 겪는 혼다의 무인 택시 사업, 이유는?
▶일본 최초 무인택시 상용화 나선 혼다...난관 봉착
▶크루즈와 합작회사 설립 지연, 자율주행 개발의 어려움 등의 영향
![[외신]난항 겪는 혼다의 무인 택시 사업, 이유는?](/upload/74e4be183e2945f199b711090beff1f8.png)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일본 최초로 무인택시(로보택시) 상용화에 나선 혼다가 시작 전부터 난관에 봉착했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도요게이자이는 5일 '혼다, 일본 최초 무인 택시(자동 운전 택시)에 감도는 암운'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제하고, 혼다가 혼다와 GM 크루즈의 합작회사 설립 지연, 자율주행 개발의 기술적 어려움 등의 이유로 로보택시 서비스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혼다는 지난해 10월 제너럴모터스(GM) 자회사인 크루즈와 올 상반기 합작회사를 설립하고 2026년 초 일본에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혼다는 완전자율주행차인 '크루즈 오리진'을 활용해 2026년 도쿄 도심에서 자율주행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었으며, 혼다의 미베 토시히로 사장은 "일본에서 가장 교통량이 많고, 가장 다채롭고 주행 난이도가 높은 장소에서 서비스를 시작한다. 여기서 고객에게 높은 만족감을 선사한다면 다른 도시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혼다와 크루즈의 합작회사 설립 지연과 자율주행 기술 개발의 어려움 등 문제가 겹치면서 혼다의 계획에 차질이 생기고 있습니다.
도요게이자이는 우선 합작회사 설립 지연의 원인으로 지난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크루즈의 로보택시가 일으킨 인명 피해 사고를 꼽았습니다.
지난 10월 크루즈의 로보택시가 차에 치인 보행자를 6m가량 끌고 가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해당 사고와 관련해 크루즈는 캘리포니아 공공요금위원회(CPUC)에 제대로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 약 1800만엔(1억 5453만원)의 벌금을 물게 됐습니다.
혼다는 크루즈의 사고에 대해 일본에서의 합작회사 설립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인정하고, "(로보택시의) 안전성이 담보되고 있는지 확실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2026년 일본 내에서 로보 택시 상용화할 것이라는 기존 계획은 일정 변경없이 계속될 방침입니다.
자율주행 기술 발전이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 역시 혼다의 로보택시 상용화에 발목을 잡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도요게이자이는 "올해 2월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구글 웨이모의 자율주행차가 자전거와 충돌사고를 일으켜, 당국이 조사에 나섰으며, 지난해 일본에서도 자율주행 실증 차량이 도로에 멈춰 있던 자전거와 접촉하는 사고를 일으켜, 개발을 진행하는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등이 약 반년간 운행을 정지했다"라고 밝히면서 자율주행기술이 복잡한 도로환경에 대응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로보택시는 교통 소외지역의 대체교통수단, 택시업계의 인력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히고 있어 향후 상당한 수요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도요게이자이는 "글로벌 회계 컨설팅 그룹 PwC컨설팅에 따르면 자율주행 택시가 만들어내는 수익이 2035년에는 약 70조엔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면서 "미국 테슬라와 일본 닛산 자동차 등이 자율주행 택시 사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코아스나 이화그룹 3사나 주주들 가지고 노는건 도낀개낀이네 피해주주 구제할 생각이였다면 상장폐지 되기전에 했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정리매매 기간에 헐값에 주식사들여 경영권 장악 하려다 차질 생기니 이제와서 피해주주들을 생각하는척 하네 지금이라도 정의 실현 할라치면 이화주주연대에 진심어린 협조를 구해 보는건 어떨지? 세상만사 너무 쉽게 보는 코아스네